다음 달부터 내년 1월까지 기온은 대체로 평년 수준일 것으로 전망됐다. 내년 1월은 평년보다 조금 높을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됐다.
기상청은 26일 발표한 ‘3개월(11월∼2021년 1월) 월별 전망’에서 11월과 12월 기온은 대체로 평년(7.0∼8.2도, 1.0∼2.0도)과 비슷하고 1월(영하 1.6∼0.4도)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높겠다고 예상했다.
11월은 주로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낮과 밤의 기온 차가 큰 날이 많고 북쪽에서 내려온 찬 공기가 일시적으로 영향을 미쳐 다소 추운 날씨를 보일 때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기상청은 12월 역시 평균 기온은 평년 수준인 가운데 기온의 급등락이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찬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면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지는 날이 있을 전망이다.
내년 1월은 대륙고기압과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주기적으로 받아 건조한 날이 많고, 찬 대륙고기압이 확장할 때 지형적인 영향으로 서해안과 제주도에는 다소 많은 눈이 내릴 수 있다.
이번 겨울은 건조한 날이 많은 가운데 11월과 내년 1월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적고, 12월은 평년과 비슷하겠다.
엘니뇨·라니냐 감시구역의 해수면 온도는 겨울철까지 평년보다 낮은 라니냐 상태가 유지될 것으로 분석됐다.
11월 이상 저온 발생 일수는 평년(3일)과 비슷하거나 적고, 이상고온 발생 일수는 평년(3일)과 비슷하겠다.
기상청은 다만 이번 여름 긴 장마처럼 예상치 못한 날씨가 발생한 가능성은 여전히 있다고 설명했다.
온난화에 기반한 기후변화로 장기간 특이 기압계 출현, 예측 불가능한 ‘블로킹’(고위도 지역에서 정체하거나 매우 느리게 이동하면서 주변 대기의 흐름을 막는 온난 고기압) 발생, 서태평양의 대류 변화 등이 그 요인이다.
기상청은 이와 관련, “장기예보와 기후 전망은 평년과 비교해 개략적인 경향을 알려주는 것으로 그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과학적인 한계가 있으며, 최신의 전망을 참고하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