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저격수’라 불리던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고(故)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을 추모하며 “그는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우리 경제의 큰 거목이었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26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이 회장은) 한국 기업이라고 하면 ‘남의 것 흉내 내고 값싼 제품을 만드는 기업’이라고 생각했던 인식을 완전히 뒤집은 혁신의 선두주자였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제 주목할 건 3·4세대 경영진이 맨 앞에 서게 됐고 새로운 경제 리더십이 우리 경제를 선도할 시기가 됐다는 것”이라며 “과거 박정희 전 대통령이 몇몇 기업 총수들에게 국가적 자원과 기회를 다 밀어줬던 특권의 시대가 아니라, 실력을 가지고 세계 경제를 이끌어나가야 할 시기”라고 설명했다.
이어 “제가 만약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입장이라면 아직 아슬아슬하다는 느낌이긴 할 것”이라며 “삼성그룹 경영의 핵심은 삼성전자를 누가 얼마나 장악하느냐가 핵심인데, 삼성전자에 대한 지배력을 보면 이 회장 지분까지 합쳐서 그 가족이 5.5 정도를 가지고 있다. 경영권을 위협했다던 엘리엇도 0.6 밖에 없었다. 5.5는 어마어마한 지분”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하지만 아버지가 돌아가셨기 때문에 상속세 때문에 부담이 있을 거다. (이 부회장이) 경영권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해 나갈지는 지켜봐야 할 것”이라며 “이 부회장이 전혀 달라진 국민적인 상식과 눈높이를 맞춰서 본인이 적절한 사회적 합의를 만들어내기 위한 제안을 해줄 것을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이 회장이 가지고 있는 삼성생명 지분이 21%라고 해도 4조~5조 정도밖에 안 될 텐데, 그걸로는 삼성전자 주식 지분이랑 나머지 상속세를 만들어내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국민께서 ‘뭘 그렇게 많이 내. 10조를 낸다며?’라고 생각하실지 모르지만 선대의 재산이야말로 불로소득의 전형이다. 그래서 지금 우리는 (상속세를) 50% 정도 내고 할증해서 60%까지 내게 돼 있다. 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에는 70%가 넘었다”고 말했다.
이어 “상속세 혹은 개별소득세는 사회적 기준과 정치적 합의다. 나라마다 다르다”며 “우리나라도 소득세가 최소 구간은 40%가 넘지 않나. 박정희 시대 때는 상속세가 낮았을 것 같지만 안 그렇다. 이승만 전 대통령 때는 더 높았다”고 부연했다.
마지막으로 “삼성은 우리 경제를 위해 많은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개인의 일탈은 반드시 바로 잡아야 하지만 기업은 도와줘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정치적 합의를 만들어내는 데 도울 수 있으니 이전 방식처럼 특권과 특혜, 반칙과 불법이 아닌 새로운 안들을 고민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문지연 기자 jy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