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울릉도에 뱀 한 마리가 출몰해 한때 소동이 벌어졌다.
도둑과 뱀, 공해가 없어 ‘3무(三無)의 섬’으로 불리는 울릉도에서 뱀이 목격된 것은 섬 주민에게는 그야말로 이례적인 사건이다.
25일 경북 울릉군 등에 따르면 지난 22일 오전 11시쯤 울릉군 저동항 울릉수협위판장에서 뱀이 발견돼 주민들이 울릉119안전센터에 신고했다.
목격자들에 따르면 이날 검은색에 길이가 약 60~70cm의 뱀이 5분 정도 위판장을 기어 다니다가 사라졌다.
뱀은 출동한 119대원들과 울릉군농업기술센터 직원들이 위판장 주변을 수색해 포획했다.
국립수산과학원에 문의 결과 누룩뱀(밀뱀)으로 판명됐다. 술을 담글 때 쓰는 누룩과 색깔이 비슷하다고 해 누룩뱀으로 불리며 우리나라에서 쉽게 발견된다.
아직 유입 경로 등이 밝혀지지 않아 온갖 추측이 이어지고 있다.
육지와 달리 뱀을 눈으로 직접 본 주민이 거의 없는 만큼 궁금증도 커지고 있다.
울릉군 관계자는 “육지에서 어선 등을 통해 유입된 것으로 추측하고 있는데 자세한 유입 경로 등을 파악 중”이라고 말했다.
지금까지 울릉도에서 뱀이 서식하고 있다는 공식적인 기록은 없다.
울릉도는 뱀이 살지 못하는 섬으로 알려져 있다. 그 이유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 설이 무성하다.
육지와 멀리 떨어진 화산섬이기 때문이라거나, 뱀이 싫어하는 약초가 많아서, 또 향나무가 많아서 살 수 없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확실한 이유나 학술적인 근거는 밝혀지지 않았다.
한때 울릉도에도 육지에서 들여온 뱀을 길렀던 적이 있었다고 한다.
주민 김 모(65)씨는 “1980년대쯤 어떤 사람이 육지에서 뱀을 들여와 키웠는데, 수십 마리가 사육지를 탈출(?)한 후 모두 죽은 채 발견된 적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울릉도는 예로부터 뱀이 없다. 천적이 거의 없는 울릉도에서 유독 뱀이 번식하지 못하는 이유 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라고 덧붙였다.
울릉=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