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이 인플루엔자(독감) 백신의 무해함을 누차 강조하고 있지만 일부 지방자치단체와 민간 병원은 백신 접종을 중단하고 있다. 백신 접종 후 사망 사례가 갈수록 늘어나면서 독감 백신에 대한 시민들의 불안감은 점점 커지고 있다.
정은경 질병청장은 24일 질병청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지금까지 검토한 사망 사례는 모두 예방접종과 직접적인 인과성이 매우 낮다”며 “인플루엔자 예방을 위해 접종을 지속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했다. 정 청장은 예방접종피해조사반과 예방접종전문위원회에서 26건의 접종 후 사망 사례를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이같이 판단했다고 밝혔다.
질병청에 따르면 독감 백신 접종 후 사망한 사례가 이날 오후 1시 기준 48건으로 집계됐다. 사망자는 전날(36명)보다 12명 늘었다. 연령대로 보면 70대가 23명으로 가장 많고 이어 80대 이상 18명, 60대 2명, 60대 미만 5명으로 고령자가 많았다.
백신 접종 후에 이상 반응이 있다는 신고 건수는 23일 기준 1154건이었다. 이상 반응이 예방접종으로 인한 것인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질병청은 “백신 재검정이나 국가예방접종사업 중단을 고려할 단계는 아니다”며 “코로나19 유행상황 하에 동시유행에 따른 위험성을 낮추기 위해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이 필요하다”고 했다.
그러나 일부 지자체에서는 자체적으로 독감 백신 접종을 중단하고 있다. 포항시는 23일 긴급회의를 열고 29일까지 유·무료 백신 접종을 보류할 것을 권고했다. 서울 영등포구도 독감 백신 사용을 보류해달라고 일선 병원에 알렸다. 다른 지역의 민간 병원들도 자체적으로 백신을 접종하러 오는 시민들을 돌려보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방침이 현장에 통하지 않으면서 시민들은 혼란에 빠졌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23일 백신 예방접종을 금지해달라는 게시글도 올라왔다. 독감 백신에 대한 두려움과 거부감이 점점 커지는 모양새다. 질병청은 자체적으로 백신 접종 중단을 권고한 지자체에 공문을 보내 중단 권고를 철회할 것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방극렬 기자 extre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