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기사들이 한진택배와 쿠팡, 로젠 등 주요 택배사에 노동자의 과로사를 방지할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택배 노동자가 잇따라 숨지고 있지만 회사 측이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국택배연대노동조합과 민주노총 서울·경기본부, 진보당은 24일 서울 중구 한진택배 본사 앞에서 ‘택배 노동자 과로사 주범, 재벌택배사 규탄대회’를 열었다. 이들은 “택배회사들이 노동자 과로사에 책임을 지고 장시간 노동을 개선할 방안을 내놓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석운 택배노동자 과로사대책위원회 공동대표는 “36세 한진택배 기사가 사망했는데 회사는 그에게 원래 지병이 있었고, 다른 동료보다 훨씬 적은 물량을 처리했다며 사인을 인정하지 않았다”며 “물류센터에서 20대 노동자가 사망한 쿠팡 측도 과로사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집회 참가자들은 “재벌택배사 규탄한다” “더 이상 죽이지 말라”는 구호를 외쳤다.
노조에 따르면 이달 들어 서울 강북구에서 일하던 CJ대한통운 택배기사 김모(48)씨와 한진택배 동대문지사 소속 김모(36)씨, 경북 칠곡의 쿠팡 물류센터에서 근무해온 20대 장모씨 등이 연이어 숨졌다. 올해 들어 13명의 택배 노동자가 과로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강민욱 전국택배연대노조 우체국본부 쟁의국장은 “(택배사들이) 과로사를 인정하지 않고 구조적으로 변화하지 않으면 또 다른 희생자가 나올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분류작업에 별도 인력을 투입하고 택배기사 전원에게 산재보험을 적용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올해 6명의 노동자가 사망한 CJ대한통운은 지난 22일 공식 사과하며 배송물 분류작업에 3000명을 단계적으로 추가 투입하겠다고 발표했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23일 국정감사에서 다음 달까지 관련 대책을 내놓겠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특수고용직 정책에 택배 노동자가 반영되도록 노동부와 함께 논의하고 있다”며 “(배송물) 분류작업을 무엇으로 보고 누가 이것에 대한 부담을 져야 하는가가 쟁점이다. 그에 따른 표준계약서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말했다.
방극렬 기자 extre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