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22일 독감 백신 접종 이후 전국적으로 사망자가 속출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 “접종을 일정 기간 중단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백신과 사망과의 직접적인 연관성이 확인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정 청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보건복지위원회 종합감사에서 ‘백신의 안전성이 규명될 때까지 접종을 중단해야 한다’는 국민의당 최연숙 의원의 지적에 대해 “현재까지 사망자 보고가 늘기는 했지만 예방접종으로 인한 사망이라는 직접적 연관성은 낮다는 것이 피해조사반의 의견”이라며 이같이 답변했다.
정 청장은 ‘사망자들이 맞았던 백신이라도 접종 중단을 고려해야 한다’는 국민의힘 김미애 의원의 지적에 대해서는 “그 부분도 검토했으나, 아직은 중단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저희와 전문가의 판단이었다”고 답했다. 며칠간 접종을 중단하면 문제가 되느냐는 국민의힘 주호영 의원의 질문에는 “예방접종의 적정 시기가 있기 때문에 접종을 일정 기간 중단하기는 어렵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날 현재까지 독감 백신 접종 후 사망한 사례는 17명으로 집계됐다. 질병관리청의 전날 9명 발표 이후 경북 안동, 대전, 경북 성주, 경남 창원, 전북 임실 등에서 사망자가 추가로 나왔다.
정 청장은 “사망사례에 대해서는 최대한 접종과의 문제가 없는지 모니터링하고 조금이라도 이상이 있겠다고 판단되면 신속하게 조치하겠다”고 했다.
정 청장은 백신 자체의 문제일 가능성은 거듭 일축했다. 그는 “현재까지 사망자들이 접종한 백신은 5개 회사가 제조한 것이고, 모두 로트번호가 다 달라서 한 회사(백신이)나 제조번호가 일관되게 이상반응을 일으키지는 않았다”며 “제품이나 제품 독성 문제로 인한 사망은 아닌 것으로 전문가도 판단한다. 같은 의료기관에서 같은 날 접종받은 분들도 전화로 조사했지만, 중증 이상반응은 없었다”고 설명했다.
정 청장은 “현재 독감 백신은 계란 유정란 배양과 세포배양, 두 가지 방식으로 생산되는데 지금 사망자는 두 가지 방식의 백신에서 다 보고되고 있다”며 “백신 제조 과정 중이나 식약처 검정을 통해 톡신 독성물질을 다 거르기 때문에 제조 과정에서 문제가 생기는 것은 심각한 일이고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제품 문제라면 바로 중단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
올해부터 모든 접종을 3가 백신에서 4가 백신으로 바꿔 이상반응이 더 많이 나타났다는 지적도 나왔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에 대해 “전신적인 반응이나 경미한 이상반응은 제품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그 부분은 검증이 필요하다”며 “지난해에도 민간에서는 4가 백신을 접종했다”고 설명했다.
정 청장은 사망자 9명 가운데 2명은 ‘아나필락시스 쇼크’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전날 발표한 것과 관련해선 “추적 조사 결과 아나필락시스 쇼크는 아닌 것으로 자료가 나왔다”고 밝혔다. 아나필락시스 쇼크는 특정 식품과 약물 등의 원인 물질에 노출된 뒤 수 분, 수 시간 이내에 전신적으로 일어나는 중증 알레르기 반응이다.
그는 “독감 자체로 인한 사망자가 1년에 3000명 가까이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독감으로) 어르신·고위험군에서 폐렴이나 다른 합병증이 생길 수 있고 독감으로 기저질환이 악화해 사망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접종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접종 필요성을 강조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