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이후 업무량이 급증한 택배업계에서 배달 노동자들이 잇따라 사망하는 가운데 간선차 운전을 맡은 또 다른 택배 노동자가 세상을 떠났다.
택배노동자 과로사 대책위원회는 “CJ대한통운 운송노동자 강모(39)씨가 지난 20일 밤 11시50분쯤 경기도 곤지암허브터미널에서 배차를 마치고 주차장 간이휴게실에서 쉬던 중 갑자기 쓰러졌고, 병원으로 후송됐으나 21일 새벽 1시쯤 사망했다”고 22일 밝혔다.
강씨는 CJ파주허브터미널과 곤지암허브터미널에서 대형트럭으로 택배 물품을 운반하는 업무를 담당했다.
대책위와 유가족에 따르면 강씨는 사망 직전 장시간 노동에 시달렸다. 그는 지난 18일 오후 2시쯤 출근해 19일 낮 12시까지 근무한 뒤 퇴근했고, 5시간 만인 19일 오후 5시에 다시 출근해 근무하다가 20일 밤에 쓰러진 것으로 조사됐다.
대책위는 “고인은 주로 야간에 근무하면서 제대로 된 휴식 없이 며칠 동안 시간에 쫓기듯 업무를 해왔다”며 “코로나19로 인한 택배 물량의 급격한 증가로 평소보다 50% 이상 근무시간이 늘어났던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이어 “고인이 평소 심장이 좋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됐지만 늘어난 물량 소화를 위해 고된 노동을 했던 것이 이번 사망의 직접적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강씨는 CJ대한통운과 개별 위·수탁 계약을 한 개인사업자로 분류돼 산재보험도 적용받지 못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강씨의 사망으로 올해 과로사한 것으로 추정되는 택배 노동자는 13명으로 늘었다. 이 중 택배 분류작업과 배달 업무를 하는 택배기사가 9명이며 물류센터 분류 노동자는 3명, 운송 노동자는 1명이다. 이들 중 CJ대한통운 노동자가 6명이다.
지난 20일엔 로젠택배 부산 강서지점에서 택배기사가 생활고로 극단적 선택을 하기도 했다.
한편 박근희 CJ대한통운 대표는 이날 오후 서울 중구 태평로빌딩 CJ대한통운 본사에서 택배 노동자 사망에 대한 사과문을 발표하고 택배 기사 및 택배 종사자 보호를 위한 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