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봉현, 정치권·검찰에도 로비했나… 檢, 진상규명 착수

입력 2020-10-21 17:21
김봉현 전 스타모빌리티 회장. 사진=연합뉴스

김봉현 전 스타모빌리티 회장이 금융감독원에 이어 정치권과 검찰 등에 다각도로 로비를 시도하려 했던 정황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그의 기존 발언이나 문건 속에서 지목된 당사자들은 김 전 회장의 주장일 뿐이라고 일축한다. 하지만 수사팀을 전면 교체한 검찰은 추가로 드러난 로비나 금품 제공 의혹에 대해 사실관계를 확인할 계획이다.

21일 법조계에 따르면 김 전 회장이 옥중 입장문을 통해 금품 로비를 했다고 주장하는 대상에는 현직 검사 3명, 전·현직 수사관, 현직 검사장 등이 포함돼 있다. 김 전 회장은 전직 수사관에게 지난해 10월 라임 미공개 정보 이용 사건 무마용으로 2억원을, 검사장 로비 명목으로 5000만원을 지급했다고 주장한다. 룸살롱에서 현직 검사들을 접대했다고도 했다.

김 전 회장은 검사와 수사관 등의 연루 의혹과 관련해 검찰에서 일부 진술을 했는데 수사가 진행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다만 당시 수사팀 지휘부는 검사 비위 의혹과 관련해서는 보고 받은 게 없다고 반박하고 있다. 검찰은 김 전 회장의 주장을 토대로 실제 룸살롱 접대와 금품 전달이 있었는지 규명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앞서 검찰 수사에서는 김 전 회장이 금융감독원 출신 김모 전 청와대 행정관 및 이상호 전 더불어민주당 부산 사하을 위원장에게 금품을 지급했던 사실이 드러났다. 또 김 전 회장이 기동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양복을 선물한 사실은 기 의원도 인정하고 있다. 김 전 회장의 진술을 전부 허무맹랑한 것으로 치부하기는 어려운 이유다.

김 전 회장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그는 검찰 출신 A변호사를 통해 검찰과 접촉을 시도한 것으로 보인다. 금융감독원의 라임자산운용 검사 사실을 빼내는 데는 금감원 출신 김모 전 행정관을 동원했다. 정치권 접촉에는 이강세 전 광주 MBC 사장 등을 이용했다. 이 전 사장이 고려대 출신이고 평기자부터 사장 자리까지 올라 인맥이 넓다는 점을 이용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 기 의원 및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모 의원도 이 전 사장을 통해 접촉한 것으로 전해졌다.

강기정 전 청와대 정무수석은 이 전 사장을 청와대에서 만난 것은 인정하지만 금품 5000만원 수수 의혹은 전면 부인하고 있다. 이 전 사장도 관련 내용을 부인하고 있다.

김 전 회장은 이밖에도 윤갑근 전 대구고검장에게 라임 펀드 재판매와 관련해 수억원을 주면서 사건 해결을 청탁했다고도 주장했다. 윤 전 고검장은 수임료는 김 전 회장과 관련 없고 라임이 아닌 다른 회사와 계약하고 받았다고 주장한다. 검찰은 윤 전 고검장 관련 내용이 파악된 지난 5월 윤석열 검찰총장에게 보고했다는 입장이다. 검찰의 한 관계자는 “김 전 회장은 수사를 뭉갰다고 하지만 수사가 어떻게 진행돼왔는지 본인이 알 수 없었던 것 뿐”이라고 말했다.

나성원 구승은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