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줄어들지 않고 답보 상태에 머물고 있다. 정부는 코로나19 확산세가 확실하게 꺾이지 않음에 따라 장기전에 대비해 중환자 치료환경 강화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1일 0시 기준으로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91명 늘어 누적 확진자는 2만5424명이라고 밝혔다. 91명 가운데 지역발생이 57명, 해외유입이 34명이다.
신규 확진자 수는 전날(58명)보다 33명 늘었지만 지난 16일부터 6일 연속 100명 아래를 유지했다. 다만 이날은 세 자릿수에 가까웠다.
이에 대해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총괄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이번 주 신규 확진자는 두 자리 수준이지만 요양병원과 방문판매센터, 콜센터 등 취약시설에서 집단감염이 계속 이어지고 있고 수도권에서도 신규 확진자가 확실히 줄지 않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사회적 거리두기가 1단계인 현 상황에서는 우선적으로 의료역량, 특히 중환자에 대한 치료역량을 단시간에 끌어올려서 확진자가 늘어도 사망률을 낮출 수 있어야 한다”며 “정부는 이 부분에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일각에선 중증환자 이송체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정춘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과 코로나19 확진자가 입원한 병원 24곳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전체의 79%인 19개 의료기관에서 ‘일손이 모자란다’는 응답을 했고, 이 중 84%인 16개 의료기관에선 간호사가 부족하다고 답했다. 또 감염병전담병원의 37.5%는 환자 전원(병원 이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정 의원에 따르면 현장 의료진들은 중증병상 확보 문제 때문에 환자 이송이 어렵고, 전원 시스템이 체계적이지 않고 절차가 복잡해 중환자들의 대기시간이 길어지고 있다고 토로했다. 실제 다수의 지방의료원은 119와 연계해 환자를 이송할 경우 차량 배차가 원활히 이뤄지지 않고 차량에 의료인이 동행해야 해 인력 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정 의원은 “코로나19 입원 환자의 상태가 악화될 경우 신속하게 전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시스템을 체계화하고 중증병상 확보에 힘써야 한다”며 “장기적으로 감염병전담병원의 기능, 시설, 인력이 중증치료가 가능한 수준으로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