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조사는 지난 12일 전용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문화재청 국정감사에서 이토 친필로 머릿돌이 만들어졌다는 내용이 담긴 간행물을 제시하면서 국민적 관심이 커진 데 따른 것이다. 당시 제시된 간행물은 조선은행이 1918년 발간한 영문잡지 '조선과 만주의 경제 개요'(Economic outlines of Chosen and Manchuria)로, 전 의원은 "현재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UC 버클리) 도서관이 소장 중인 이 책 6쪽에 '이 건물의 정초석은 이토 공작의 친필로 만들어졌다'라는 설명이 담겨 있다"라고 밝힌 바 있다.
이번 현지 조사는 '일본 하마마츠시 시립중앙도서관 누리집'에 있는 이토 붓글씨와 '조선과 만주의 경제 개요'에 게재된 당시 머릿돌 사진 등 관련 자료를 참고해 진행됐다.
조사 결과 머릿돌에 새겨진 '定礎' 글자는 이토가 먹으로 쓴 글씨와 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로 비스듬하게 내려쓴 획 등을 볼 때 이토 글씨의 특징을 갖고 있어 그의 글씨임이 확인됐다고 문화재청은 설명했다.
문화재청은 이번 고증 결과를 서울시(중구청)와 한국은행에 통보할 예정이다. 이후 한국은행이 안내판 설치나 '정초' 글 삭제 등 문화재 현상변경 허가를 신청하면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관리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한국은행 본관 건물은 1907년에 착공해 1909년 정초 후 1912년 조선은행 본점으로 준공됐다. 1950년 한국은행 본관이 됐고 본관이 신축되며 현재 화폐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손영옥 미술·문화재전문기자 yosoh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