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금태섭 전 의원 탈당을 바라보는 시각은 두 부류로 나뉜다. “철새”라고 조롱하거나 “이해는 된다”며 두둔하는 식이다. 지난 20대 국회에서 당내 소신파로 분류됐던 의원(금태섭 김해영 박용진 조응천) 가운데 현역으로 남은 건 박용진, 조응천 의원뿐이다.
김해영 전 의원은 21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안타깝고, 어디에 있든 공동체를 위해서 뜻깊은 역할을 해주기를 바란다”고 짧게 심경을 전했다. 금 전 의원이 지적했던 민주당의 ‘내로남불’ ‘오만한 태도’ 등에 대한 질문에는 답변을 꺼렸다.
박용진 의원은 페이스북에 “탈당이라는 방식으로 당에 마지막 충정을 보여주겠다는 말씀도 이해는 되지만 동의하기 어렵다”며 당을 떠나겠다는 금 전 의원의 결정에 아쉬움을 표했다. 그는 “당 안에서 부대끼고 토론하면서 당원들을 설득하고 변화에 앞장서겠다. 그래서 금 의원님의 선택을 비난할 수는 없지만 동의하기 어렵다”며 당내에서 변화를 도모하는 방향으로 힘을 보태겠다고 했다.
조응천 의원도 페이스북에 “아쉽고 안타까운 마음을 금할 수 없다”며 “금 의원이 남긴 글의 많은 부분에 대해서도 공감한다. 하지만 탈당 결정은 야속하고 원망스럽다”고 남겼다. 그는 이어 “그간 우리가 비난을 감수하고서라도 쓴소리를 마다치 않았던 것은 우리가 속한 민주당을 더 건강하고 상식적인 집단으로 만들기 위한 것이었고, 우리 당의 부족한 점은 외부의 비판과 내부의 노력을 통해 더 나아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이 부분에 대해선 금 의원과 제 판단이 다른 것 같다”고 했다.
친문(친문재인) 인사들은 금 전 의원의 탈당을 두고 원색적으로 비난했다. 정청래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정치를 계속하겠다니 국민의힘행보다는 국민의당행을 권면한다”며 “다음 총선을 생각하면 국민의힘이 더 당기겠지만 그래도 한때 한솥밥을 먹었던 철수형이 외롭다. 이럴 때 힘 보태주는 것”이라고 비꼬았다.
21대 총선에서 금 전 의원의 지역구인 서울 강서갑에 공천을 신청했다가 당 지도부의 조정으로 경기 안산단원을 공천받아 당선된 김남국 의원도 페이스북에서 “이제 여기서는 안 될 것 같으니까 이런저런 핑계를 대면서 자신이 속했던 정당을 떠난다. 그냥 떠나는 것도 아니고 내가 못 먹는 우물 남도 먹지 말라는 못된 마음으로 침을 뱉고 떠난다”며 “최근에 보기 힘든 ‘철새 정치인’의 모습”이라고 비난했다.
민주당 지도부는 금 전 의원의 탈당에 대해 말을 아끼면서도 파장이 커지는 것을 경계하는 분위기다. 이낙연 대표는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아쉬운 일”이라고 말을 아꼈다. 금 전 의원이 자신의 징계처분에 대한 당의 재심 지연에 문제를 제기한 데 대해서는 “충고는 저희가 마음으로 받아들이겠다”며 “그러나 일단 떠나신 것을 아쉽게 생각한다”고 했다.
허영 대변인도 기자들과 만나 “자연인으로서의 탈당이기 때문에 거기에 큰 의미가 있을는지는 잘 모르겠다”고 언급했다.
금 전 의원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설치법안에 당론을 따르지 않고 기권표를 행사했다는 이유로 당의 징계 처분을 받았다. 이후 재심 청구를 했지만 5개월이 지난 현재까지도 이렇다 할 결론이 나오지 않았다. 금 전 의원은 “민주당은 아무런 결정도 내리지 않고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며 탈당을 선언했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