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2045년 인구 100만 이하 인구감소 ‘비상’

입력 2020-10-21 14:12
울산시가 인구감소 현상을 막기 위해 인센티브 지원 등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21일 울산시에 따르면 지난 8월말 울산 총인구는 115만8978명으로 2015년 11월말 120만640명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5년동안 4만명 넘게 감소하고 있다.

시가 이날 발표한 ‘울산 인구증가 대책 2020년 시행계획’에 따르면 통계청 예측 결과 울산의 인구는 올해 114만에서 향후 지속적으로 줄어들다가 2045년에는 98만9000명으로 100만 이하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또 울산의 총가구는 2033년 1인 가구 증가로 인해 45만 가구까지 증가한 뒤 점차적으로 감소해 2047년에는 42만 가구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주력 산업이 장기 불황을 겪으면서 양질의 일자리를 찾아 울산을 떠나고 있고 저출산이 장기간 인구 감소의 주요 원인이다.

이 때문에 울산시는 청년 유입과 출산, 보육을 인구 정책 1순위에 두고 있다. 실제 청년 임대료 지원과 신혼부부 공공임대주택 공급과 주택 규모 확대 , 육아휴직 인센티브까지 도입하며 차별화한 정책을 시도하고 있다.

특히 울산시는 공직사회 부터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직장분위기를 조성하는 ‘최적화된 워라벨 조성’을 운영중이다. 공무원이 자녀를 출산하거나 입양하면 ‘실적가산점’을 주고 있는데 첫째는 0.5점, 둘째는 1점, 셋째는 1.5점, 넷째부터는 2점이다. 지난 4월부터는 육아휴직을 쓰는 공무원은 남녀 차별없이 근무성적을 매길 때 ‘우’ 이상의 평정을 부여하고 있다. 연가는 저축을 통해 10년 안에 언제든 활용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시는 ‘출산·보육 친화도시 조성’과 관련해 울산형 다자녀 가정 지원책을 마련했고, ‘기업환경 변화에 선도적 대응’을 위해 원전해체연구소 유치 및 3D프린팅 융합기술센터 구축 등 산학연 연구기관 유치·설립을 올해 신규로 추진했다.

이와 함께 광역교통망 확대에 맞춰 새로운 도심을 집중 육성한다. KTX 울산역세권과 울산경제자유구역, 수소 및 게놈특구, 울주강소개발특구 등이 들어서는 서부권(언양, 삼남, 상북)을 새로운 도심으로 육성하겠다는 전략이다. 시는 2035년 계획 인구를 135만명으로 잡고 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