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올해 56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급증하고 있는 바다 속 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시책을 펼치기로 했다고 21일 밝혔다.
도는 먼저 해안쓰레기의 바다 유입을 막고자 7억8000만원을 투입해 바닷가에 산재해 있는 폐그물, 폐통발 등을 수거·처리하기로 했다. 해수욕장, 갯바위 등 사람이 접근할 수 있는 지역에 인력과 장비를 동원해 수거·처리함으로써 쓰레기의 해양 재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사업이다.
쓰레기의 불법투기를 감시하는 등 해양쓰레기 발생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바다환경지킴이’ 운영도 대폭 확대한다.
도는 지난해 3억원의 예산을 들여 2개 시·군 23명으로 지킴이를 운영해왔으나 올해는 27억원을 투입해 동해안 5개 시·군에 204명을 배치해 운영하고 있다. 이들은 해안가 주요지역에서 해양오염 행위를 감시하는 일뿐만 아니라, 직접 쓰레기를 수거하는 작업까지 하고 있다.
바다 속 쓰레기 수거를 위해 도는 2014년부터 ‘조업 중 인양쓰레기 수매 사업’을 펼치고 있다.
바다로 나간 어선들이 조업활동 중에 인양되는 폐그물, 폐통발 등 해양쓰레기를 수거해 오면 지역별 수협에서 수매하는 방식으로 올해도 6억원을 투입해 1000t의 쓰레기를 수거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경북도는 독도 주변 바다을 위한 특별대책으로 6000만원을 들여 15t이 넘는 바다 속 쓰레기를 수거하고 해양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전용 선박 건조에도 나선다.
도는 해양수산부의 국비를 지원받아 올해부터 내년까지 총 사업비 75억원으로 170t급 ‘도서지역 정화 운반선’을 건조한다. 내년 1월까지 설계를 끝내고 내년 2월부터 건조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 선박은 울릉도의 해양쓰레기를 수거·운반할 뿐만 아니라 포항에서 울진까지 연안지역의 적조예찰, 오염사고 대응, 해양쓰레기 수거 등 해양환경 관리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하게 된다.
경북도에 따르면 도내 연안에서 발생되는 해양쓰레기는 연간 6000~7000t 정도로 추정되고 있다. 도는 현재 해양쓰레기 발생-수거-처리의 전 사이클에 대한 종합적인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해양쓰레기 발생원 조사 및 관리방안 수립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중간용역 결과에 따르면 매년 태풍으로 인한 동해안의 해양쓰레기양은 2018년 태풍 콩레이때는 5300여t, 지난해 태풍 미탁때는 8900여t, 올해 마이삭·하이선 두 번의 태풍으로 4800여t이 발생했다. 처리비용만도 지난해 미탁때 48억, 올해 마이삭·하이선으로는 24억이 들었다.
도는 해양쓰레기로부터 바다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해양보호구역’ 확대도 필요하다고 보고 해양보호구역 신규지정을 위한 후보지 조사용역도 진행하고 있다.
김성학 경북도 해양수산국장은 “해양쓰레기는 접근이 어려운 연안과 바다 속에 동시에 있어 수거와 처리에는 많은 예산과 노력이 든다”며 “체계적인 조사를 해 종합대책을 세우겠다”고 밝혔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