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정부 들어 최근 3년간 서울에서 중소형 아파트값이 다른 평형에 비해 가장 높은 비율로 오른 것으로 분석됐다. 서민과 사회초년생이 많이 찾는 평형의 아파트값이 크게 오르면서 이들의 주거난도 심화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2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상훈 의원실이 2017년 5월부터 2020년 7월까지 한국감정원의 ‘서울 아파트 평형별 평균 매매시세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용면적 40~62.8㎡ 미만의 중소형 아파트 매매가격은 2017년 5월 3억7218만원에서 올해 7월 6억1741만원으로 65.9%(2억4523만원) 상승했다.
이는 중형(62.8~95.9㎡ 미만)이나 중대형(95.9~135.0㎡ 미만) 아파트값 상승률을 웃도는 결과다. 같은 기간 중형 아파트값은 5억1524만원에서 8억3197만원으로 61.5%(3억1673만원) 올랐고, 중대형도 7억2738만원에서 11억4006만원으로 56.7%(4억1268만원) 상승했다. 또 소형(40㎡ 미만) 아파트값도 2억6117만원에서 3억5009만원으로 34.0%(8892만원) 상승했다.
김 의원은 “역세권과 거리가 있고 연식이 오래된 저가 소형·중소형 아파트마저도 최근 3년간 집값이 크게 올라 자금이 넉넉지 못한 서민과 사회초년생의 내 집 마련이 어렵게 됐다”고 지적했다.
특히 노원구나 구로구 같은 서울 외곽 지역의 경우 중소형보다 소형이 더 많이 올라 서민층의 주거비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원구의 경우 최근 3년간 중소형 아파트값이 52.8%(2억7110만→4억1435만원) 상승한 반면 소형은 53.6%(1억8759만→2억8815만원) 올랐다. 구로구도 같은 기간 중소형은 49.9%(2억8958만→4억3409만원) 오른 데 비해 소형은 51.0%(2억500만→3억950만원) 올라 상승률이 더 높았다.
김 의원은 “지난 3년여간 서울에서 보통의 시민이 사고, 살 집이 사라졌다. 문재인정부의 부동산 실정이 되레 갭투자와 패닉 바잉을 자극하면서 서민의 주거비용을 급증시켰다. 현 주거 정책의 전반적인 수정이 필요하다”고 꼬집었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