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청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1일 금태섭 전 의원의 탈당을 두고 “다음 총선을 생각하면 국민의힘이 더 당기겠지만 그래도 한때 한솥밥을 먹었던 (안)철수형이 외롭다. 이럴 때 힘 보태주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정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정치를 계속하겠다니 국민의힘 행보다는 국민의당행을 권면한다”며 이같이 적었다. 금 전 의원은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와 함께 민주당에 입당해 ‘안철수계’로 분류된 바 있다.
그는 이어 “안타깝지만 본인을 위해서나 민주당을 위해서나 잘된 일”이라며 “정치인은 다음 세대를 걱정하고 정치꾼은 다음 선거를 걱정한다. 아무튼 건투를 빈다”고 비꼬았다.
이목희 전 민주당 의원은 “민주당에나 금 전 의원 본인에게나 잘된 일”이라며 “그는 민주주의와는 먼 거리에 있는 사람”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탈당하면 좋을, 비슷한 유형의 의원이 두어 명 더 있는데”라고 했다. 금 전 의원처럼 당에 쓴소리하는 의원들은 다 나가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허영 민주당 대변인은 “큰 의미가 있는지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자연인으로서의 탈당’이라며 의미를 축소하기도 했다. 허 대변인은 금 전 의원이 징계 재심을 청구한 지 5개월째 당에서 결정을 내리지 않고 있다고 비판한 데 대해 “탈당의 변에 관해서 확인해 보고 얘기하겠다”고 답했다.
이낙연 민주당 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금 전 의원의 탈당과 관련해 “아쉬운 일”이라며 “(금 전 의원의) 충고는 마음으로 받아들인다. 떠난 것은 아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용민 민주당 의원은 금 전 의원의 탈당에 “진보진영에서 끊임없는 실천을 통해 우리 사회가 진일보하는데 늘 함께 해 주시기를 희망한다”며 “우리가 지향하는 바다에서 다시 만나길 고대하겠다”고 SNS에 남겼다. 김 의원은 공수처 설치와 관련해 금 전 의원과 설전을 벌인 바 있다.
금 전 의원은 이날 SNS를 통해 민주당 탈당을 선언했다. 공수처 설치법과 관련, 당론을 따르지 않고 기권표를 행사했다는 이유로 징계처분을 받고 재심을 청구한 지 5개월여 만이다. 그는 “더는 당이 나아가는 방향을 승인하고 동의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며 “민주당에 유연함과 겸손함, 소통의 문화를 찾아볼 수 없다”고 비판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