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연대도 장하성에 “교비 유흥업소 사용 소명하라”

입력 2020-10-20 17:39
장하성 주중대사

장하성 주중대사가 고려대 교수 재직 시절 연구비 명목으로 지급된 법인카드를 유흥업소에서 사용한 의혹이 불거진 가운데 참여연대가 사용 경위를 밝히라고 비판 대열에 합류했다. 장 대사는 참여연대 경제민주화위원장과 경제개혁센터 운영위원장을 지낸 바 있다.

참여연대는 20일 사립학교 개혁과 비리추방을 위한 국민운동본부와 함께 낸 논평에서 “액수나 횟수를 떠나 학생들의 등록금으로 조성된 교비나 연구비를 유흥업소에서 사용했다는 것은 비판받을 일”이라며 자세한 사용 경위를 밝히라고 요구했다.

참여연대는 “장 대사 본인이 결제한 것인지 단순하게 빌려준 것인지, 사용 금액과 시기는 언제인지 기본적인 사실관계를 투명하게 소명하는 등 교비 부정 사용 의혹에 대한 정확한 경위를 밝혀야 한다. 사실이라면 그에 합당한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교육부는 감사 인력 부족, 사립대학에 대한 감사 규정 미비 등을 이유로 사학재단의 종합감사를 미뤄왔는데 사립대 자체 감사가 얼마나 엉터리로 이루어지고 있었는지 확인됐다”고 비판했다. 이와 관련 “대학 내 의사결정기구에 학생을 포함한 다양한 구성원을 의무적으로 참여시키고, 사립 대학 회계시스템을 국립대 수준으로 개편하도록 사립학교법 개정을 조속히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교육부가 지난달 발표한 고려대 종합감사 결과에 따르면 교수 13명은 2016년 3월∼2019년 12월 서양음식점으로 위장한 서울 강남의 한 유흥업소에서 1인당 1∼86차례에 걸쳐 법인카드 6693만원어치를 결제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13명의 교수 중 장 대사도 포함된 것으로 드러났다. 다만 장 대사가 직접 법인카드를 사용했는지는 확인되지 않는다.

당시 교육부는 장 대사 등 12명에게는 중징계를, 1명에게 경고 처분을 내리라고 고려대에 통보했다. 하지만 장 대사는 처분 당시 정년퇴임을 한 상태여서 ‘불문’(징계하지 않음) 처리됐다. 장 대사는 1990년부터 지난해까지 고려대 경영학과 교수를 지내다 정년 퇴임했고, 2017∼2018년에는 청와대 정책실장으로 일했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