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제가 코로나19 충격에서 벗어나 안정적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코로나19 재확산이라는 변수가 남아 있지만 이런 추세라면 중국은 국제통화기금(IMF) 전망대로 올해 주요 국가 중 유일하게 플러스 성장하는 나라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19일 올해 3분기 국내총생산(GDP)이 72조2786억위안(약 1경2332조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9%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코로나19가 급격히 확산하던 지난 1분기에 –6.8%로 곤두박질쳤다가 2분기에 3.2% 성장하며 반등했다. 이어 3분기에도 5.0% 가까이 성장하면서 브이(V)자 모양의 회복 곡선을 그려가고 있다.
코로나19 확산 전인 지난해 4분기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6.0%였던 점을 감안하면 중국 경제는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거의 회복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 경제는 올해 들어 9월까지 전년 동기 대비 0.7%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3분기 성장률 4.9%는 시장 전망에는 다소 못 미치는 수치다. 시장조사업체 리피니티브의 전문가 조사 결과 성장률 전망치는 5.2%였다. 실제 성장률이 전망치에 못 미친 건 수입이 늘고, 제조업에 비해 서비스 분야 회복이 더뎠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경제 회복세는 2분기보다 더 빨랐다. 부문별로 보면 중국의 3분기 산업 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5.8%, 서비스업은 4.3% 성장했다.
상품 판매, 특히 온라인 판매는 눈에 띄게 개선됐다. 이날 발표된 9월 소매 판매액은 1년 전보다 3.3% 늘어 시장 전망치 1.8%를 뛰어넘었다. 소매 판매는 지난 8월 0.5% 증가해 코로나19 확산 이후 처음 플러스 성장을 기록한 뒤 2개월 연속 증가했다. 이처럼 소비가 살아나면서 경제 회복 속도가 빨라진 것으로 분석된다.
캐피털이코노믹스의 줄리언 에번스-프리처드 중국 담당 이코노미스트는 미국 CNN방송에 “중국 경제는 3분기에 회복세가 확대되고 투자 주도 부양책에 덜 의존하게 되는 등 빠른 반등을 지속했다”고 분석했다. 이어 “월간 데이터는 이같은 성장세가 4분기까지 계속 지속될 것임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IMF는 지난 13일(현지시간) 공개한 세계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4.4%로 예상하며 중국만 1.9%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은 코로나19 확산을 억제하기 위해 엄격한 봉쇄와 감염자 추적 조치를 시행했고, 주요 인프라 사업에 막대한 재정을 투입했다. 중국 신화통신은 “전반적으로 봤을 때 중국 경제는 지속적으로 안정되고 회복되고 있다”며 “지속적인 회복세를 이어갈 수 있는 기반을 튼튼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베이징=권지혜 특파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