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상공인에 200억 지원”…‘수수료 논란’에 맞서는 네이버

입력 2020-10-19 16:57


네이버가 온라인 마케팅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상공인에게 수백억원을 지원했다고 밝혔다. 최근 수수료·알고리즘 관련 논란이 커지자 중소상공인 지원 프로그램 공개에 나서는 등 비판에 적극 대응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19일 네이버에 따르면 중소 사업자와 창작자를 돕는 ‘성장포인트’ 프로그램을 통해 3년간 8만여명의 판매자에게 200억원이 지원됐다. 해당 프로그램은 네이버의 온라인 쇼핑 플랫폼인 스마트스토어를 열었지만 마케팅 방법을 잘 모르거나 홍보에 투자하는 비용이 부담스러운 ‘초보 창업자’에게 포인트를 지급하는 내용이다. 판매자들은 포인트를 할인 혜택으로 제공하거나 검색광고 비용으로도 쓸 수 있다.

코로나19로 온라인 창업이 늘면서 지원 프로그램의 문을 두드린 중소사업자도 늘었다는 게 네이버의 설명이다. 올해 1~9월 성장포인트를 지급받은 판매자 수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32% 증가했다. 입점 수수료가 없고 1년간 결제 수수료를 면제하는 등 창업 진입 장벽을 낮추면서 네이버에 신설되는 스마트스토어 수도 늘어나는 추세다. 스토어 수는 2018년 월평균 1만5000개에서 지난 4월 3만5000개로 약 2배 이상 증가했다.

네이버는 압도적인 포털 검색 시장 지배력을 바탕으로 네이버 쇼핑을 최대 규모의 이커머스 서비스로 키웠다. 올해 예상 거래액은 지난해보다 50% 증가한 30조3000억원으로 추산된다. 정보기술(IT) 업계 관계자는 “네이버가 쇼핑·뉴스·부동산 정보 등 풍부한 콘텐츠를 제공해 사용자들이 플랫폼에 오래 머물도록 함으로써 자사 서비스의 광고 효과도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네이버 사옥. 연합뉴스


네이버가 성장하는 만큼 네이버 쇼핑 등 서비스를 둘러싼 비판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국정감사를 실시 중인 국회에서는 “네이버가 쇼핑 플랫폼에 상품을 노출시키는 조건으로 스마트스토어에 입점한 판매자들로부터 수수료를 받고 있으며, 고정비용이 많게는 1200만원에 이른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당초 안 받겠다던 수수료를 판매자들에게 강제로 걷는 것처럼 비치면서 문제가 됐다. 이에 네이버는 “검색 노출 수수료가 2%로 타 플랫폼보다 저렴하며, 판매자가 노출 여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고 반박했다. 고정비 역시 중소상공인이 아닌 종합몰과 전문쇼핑몰에만 해당된다고 설명했다.

최근 네이버 쇼핑이 논란의 중심으로 관심을 받는 이유는 업계의 견제 때문이라는 시각이 설득력을 얻는다. 지난 6일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검색 알고리즘 조작’을 이유로 267억원의 과징금을 받게 된 것도 옥션·G마켓 운영사인 이베이코리아가 2018년 네이버를 신고하면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 네이버가 쇼핑 검색 노출을 차별해 자사 서비스의 점유율을 올리고 있다는 이유다.

네이버는 쇼핑 서비스에 집중되는 관심을 부담스러워하면서도 CJ대한통운 지분 투자에 나서는 등 물류 사업으로도 영향력을 확장해나가고 있다. 이에 유통업계는 더욱 긴장하는 모습이다. 업계 관계자는 “검색과 간편결제, 빠른 배송까지 이어진다면 네이버의 이커머스 경쟁력은 더 막강해질 것”이라며 “네이버의 독주를 막으려는 시도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