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10억원 이상 아파트 거래 비중이 2016년 이후 꾸준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 정부 들어 반복된 고가 아파트 규제로 고가 아파트 거래가 급격히 줄어드는 추세가 다시 한번 확인된 것이다. 고가 아파트 거래 감소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시장 안정이라는 규제 목적을 이뤘다기보다는 투기 자본이 상대적으로 중저가로 분류되던 아파트값을 띄워놨다는 평가가 나온다.
직방은 2016년 이후 공개된 국토교통부의 아파트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2019년 최고 24.6%를 기록한 거래가격 10억원 이상 아파트 비중이 올해 22.8%까지 감소했다고 19일 밝혔다. 고가 아파트 거래 비중 감소의 영향으로 이른바 강남 3구의 아파트 거래 비중도 덩달아 감소했다. 서울 전체 아파트 거래 중 강남구와 서초구 비중은 2016년 10.5%, 2017년 11.9%, 2018년 8.1%, 2019년 10.4% 등에서 올해 7.3%까지 하락했다.
고가 아파트를 대상으로 한 정부 규제가 강화하면서 거래가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직방은 “강남과 서초는 대부분 아파트 가격이 10억원을 넘어 고가주택 거래시장을 이끌고 있다”면서 “9억원 초과 주택에 대한 LTV 감소, 15억원 초과 대출 금지, 종부세율 상향,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와 분양가상한제로 재건축 사업 지연 등 이유로 매수세가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아파트 가격 안정화 정책이 효과를 발휘했다고 보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강남구와 서초구 거래가 줄어든 대신 마포구와 동작구, 성동구 등이 신흥 지역으로 부상했기 때문이다. 2016년 거래 비중이 1.9%에 불과했던 성동구는 올해 52.8%까지 치솟았고 마포구 역시 같은 기간 3.3%에서 41.5%, 동작구도 0.3%에서 36.7%까지 증가했다.
금천구와 관악구, 구로구, 노원구, 도봉구, 강북구 등 중저가 주택이 밀집한 지역에서도 10억원 이상 거래가 나타났다. 직방은 “과거 10억이상 거래되는 고가아파트는 대부분 대형면적에 한정되어 있었으나 이제는 그 범위가 점점 넓어지는 중이다”며 “이제는 10억이라는 가격이 고가아파트나 대형아파트가 아닌 서울의 평균아파트 가격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