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혁신제품의 초기 구매자는 공공이 맡아야 한다’는 세계적 흐름에 발맞춰 혁신조달 기업 지원에 팔을 걷어붙였다.
부산시는 19일 중소기업이 개발한 혁신 아이디어 제품의 상용화와 판로 개척을 위한 ‘혁신조달기업 간담회’를 개최하고 기업지원 계획 및 활성화 방안을 발표·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혁신제품의 초기 구매자는 공공이 맡아야 한다’는 세계적 흐름에 맞춰 혁신조달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부산시와 부산조달청의 협업으로 마련했다.
‘혁신조달’은 공공기관이 신제품을 선도적으로 구매함으로써, 기술혁신·혁신성장을 지원하고 공공서비스의 질을 개선하는 정책이다. 아울러 혁신 시제품 구매제도를 통해 공공부문이 초기 구매자가 되어 상용화 전 혁신제품을 사용하고 테스트 성과를 토대로 상용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조달청은 이달 초 공공 조달 멘토제도 범위를 확대했다. 부산시는 이 제도에 발맞춰 기존 혁신성장·소재부품·역량 강화 분야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기술을 융합한 제품(기술융합)과 사회·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제품(가치 창출)도 공공 조달 시장 진출을 돕는다는 계획이다.
앞서 조달청은 상용화 직전 제품 중에서 혁신성 평가 등을 거쳐 부산지역 10개 기업의 제품을 ‘2020년도 혁신 시제품’으로 선정했다. 이 제품들은 지정일로부터 3년간 수의계약이 가능하고 공공기관이 필요한 제품을 최대 5억원까지 조달청 국비로 구매해 시범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부산시 등 공공기관은 제품당 5억원 이내의 조달청 예산을 활용해 시제품을 테스트하고, 민간부문의 중소기업은 제품화 초기에 겪는 판로 개척, 제품의 안정성 및 성능 테스트, 납품 실적 등을 해결할 수 있다.
변성완 부산시장 권한대행은 “공공 조달에서 혁신조달기업 등 중소기업이 우대받는 생태계를 조성하고 창업기업의 초기판로 확보를 지원해 나가겠다”면서 “혁신조달을 통해 공공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한편 지역 기술기업들이 공공 조달을 통해 혁신성장 및 매출 증대의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