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 검침원·경찰 대신 ‘순찰로봇’이 마을 안전 책임진다

입력 2020-10-19 14:26
스타트업 '도구공간'이 개발한 자율주행 순찰로봇. 대한상공회의소 제공

유해가스 누출 걱정으로 밤을 새우는 산업단지 인근 주민이 없어진다. 가스 누출 감지에 인근 치안까지 살피는 ‘자율주행 순찰 로봇’이 승인됐다.

19일 대한상공회의소 샌드박스 지원센터에 따르면 LG유플러스와 스타트업 ‘도구공간’의 협업으로 완성된 실외 자율주행 순찰 로봇이 샌드박스 실증 특례를 허가받았다. 다음달 완제품이 나오면 올해 안에 산업단지 부근과 인근 거주지역에서 시험 운행에 들어간다.

LG유플러스가 5G 통신망을 제공하고 도구공간이 개발·운영하는 자율주행 로봇 ‘D-BOT’은 오존, 이산화황, 이산화질소 등 6종의 유해가스 누출 여부를 24시간 감지하게 된다. 산업단지와 주거지역 내 6㎞의 구간을 반복적으로 이동하며 화재 단속, 밤길 지킴이 등의 경비 서비스도 제공한다.

스타트업 '도구공간'이 개발한 자율주행 순찰로봇. 대한상공회의소 제공

현행법상 자율주행 로봇은 보도 및 횡단 보도를 달릴 수 없다. 순찰 활동에 사용되는 영상정보를 사전 동의 없이 취득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특례심의위는 실시간 가스누출 점검에 따른 산업단지 인근 주민들의 불안감 해소와 폭력·화재 단속 등의 도시 치안 확보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고려해 실증특례 승인을 결정했다. 6대의 로봇이 2년간의 실증테스트에 투입된다.

전기차 폐배터리를 에너지저장장치(ESS)로 변환한 캠핑용 파워뱅크도 승인을 받았다. 현대자동차 코나 일렉트릭(EV) 등 전기차에서 사용후 폐기된 배터리를 재사용하는 방식이다. 배터리 팩을 셀 단위로 쪼개면 전기차 배터리 1개로 파워뱅크 30개를 만들 수 있다. 최장 10년간 사용할 수 있는 폐배터리 파워뱅크는 일반 가정용 파워뱅크 대비 30% 이상 저렴하다.

에너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전기차 폐배터리는 2029년 약 7만8000개 발생한다. 환경부와 국가기술표준원은 이번 실증 결과를 활용해 폐배터리 재사용 제품에 대한 성능 안전성 기준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그 외 병원용 의료폐기물 멸균분쇄기도 실증 특례를 받았다. 각종 주사기, 링거, 수술 도구 등 의료폐기물 발생을 해당 기기에 투입해 즉시 분쇄 후 소독제로 멸균하는 방식이다.

지난 5월 출범한 대한상의 샌드박스 지원센터에는 현재까지 125건의 샌드박스가 접수됐다. 신속확인 20건, 임시허가 6건, 실증 특례 25건 등이 완료됐다. 신속확인은 규제 여부를 30일 이내 확인해 규제 없을 시 즉각적인 시장 출시를 허용하는 제도다. 실증 특례는 현행법상 금지될 경우 규제를 유예해 일정 기간 제한 구역에서 시험하는 방식이다. 그 외 임시허가는 관련 제도가 불합리할 경우 법령 개정 전까지 시장 출시를 선제적으로 허용하는 제도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