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메인뉴스 시청률이 지상파 3사 중 최하위인 가운데 1·2부 분리편성으로 인한 광고수익만 늘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19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변재일(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받은 ‘지상파 방송사업자별 메인뉴스 시청률’ 자료에 따르면 MBC 메인뉴스인 ‘뉴스데스크’ 연평균 시청률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지상파 3사 중 꼴찌를 기록했다.
지난해 지상파 3사의 메인뉴스 연평균 시청률은 ‘KBS 뉴스9’(10.59%) ‘SBS 8뉴스’(5.68%) ‘MBC 뉴스데스크’(3.96%) 순이었다. 올해 평균 시청률은 지상파 모두 소폭 올라 ‘KBS 뉴스9’(11.15%) ‘SBS 8뉴스’(5.91%) ‘MBC 뉴스데스크’(4.80%)였다.
MBC는 지난 6월 29일부터 뉴스데스크 방송 시간을 저녁 7시55분 프라임 시간대로 옮겼다. 또 95분으로 확대해 1·2부로 분리편성했다. 변 의원에 따르면 뉴스데스크가 분리편성되기 전까지 평균 시청률은 6.26%였던 반면 분리편성 이후 평균 시청률은 5.36%로 0.9% 포인트 떨어졌다.
반면 뉴스데스크의 분리편성 이전과 이후의 월평균 광고수익을 비교해보니 직전 3개월인 4~6월의 광고 수입은 13억8200만원이었던 반면 이후 3개월인 7~9월의 광고수익은 19억600만원으로 5억2400만원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같은 기간 일반광고 수익은 1억6500만원 줄어들었지만 1·2부 사이에 유사 중간광고라 불리는 PCM(Premium Commercial Message)광고가 방송되면서 6억8900만원 늘어 평균 광고수익이 많이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지적했다.
변 의원은 “MBC는 시청권 침해와 공공성 저하 등의 우려에도 메인뉴스를 분리편성한 사유에 대해 뉴스 시청자들께 충실한 뉴스를 전달하기 위해서였다고 답변했지만, 사실상 시청률은 오히려 떨어졌고 광고수익만 늘어났다”고 밝혔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