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오래된 농공단지에 새 생명을 불어 넣기 위해 전국 최초로 재생 작업에 나선다.
전북도는 노후 농공단지를 전북형 성공모델로 추진, 전국으로 확산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18일 밝혔다.
도는 농공단지 관리권자인 시장·군수의 적극적인 관심 유발과 쾌적한 환경조성·입주기업 불편해소·청년일자리 창출 등의 적극 행정을 유도하기 위해 내년부터 시·군 평가를 도입해 인센티브를 주기로 했다.
앞서 도는 농공단지에 대한 경쟁력 강화 종합대책을 세우기 위해 지난해 ‘전라북도 농공단지 활성화 조례’를 제정했다.
1980년대 초반 정부의 농공단지개발정책에 따라 전북에서는 1984년 남원 인월농공단지가 시범단지로 처음 조성됐다. 현재 59개 단지가 지정됐고 57개 단지가 운영중이다.
이들 단지에는 모두 977개 업체가 입주했고 1만 5000여명이 일하고 있다.
이들은 연간 8조 2000억 원의 생산액을 올리며 농촌지역의 중요한 소득원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산업단지와 달리 중앙부처 예산지원 부족과 농어촌지역의 불리한 입지, 농촌지역 고령화, 33만㎡ 이하의 소규모 부지, 열악한 기반시설 등의 이유로 지속가능성에 위협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도는 최근 노후한 도내 농공단지 재생과 발전 방안을 위해 학계와 농공단지협의회, 시·군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토론회를 가졌다. 13일 전북연구원 컨퍼런스홀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다양한 목소리를 냈다.
봏전북연구원 양원탁 박사는 “지역농업과 시·군별 전략사업과 연계해 6차 산업화와 고도화를 추진하는 한편, 기업·산업·사람이 공존하는 농어촌 성장기점으로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최태호 전북농공단지 협의회장은 “농공단지 입주기업이 영세하다 보니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물류비나 폐수처리 위탁처리비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소연 전북도 산단조성지원팀장은 “현장 실태조사 결과 무엇보다도 도로, 주차장, 공원녹지 등의 공공시설과 식당, 카페, 상가 등 근로자 편의시설 확충 등이 시급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제조업 위주의 농공단지를 시·군별 전략산업과 연계한 성장거점으로 전환하고 창업·연구·문화·체육시설을 갖춰 청년들이 선호하는 매력적인 혁신공간으로 바꿀 필요성이 있다”고 제안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