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우주개발은 각국의 보편적 권리”…‘평화적 이용’ 강조

입력 2020-10-18 15:07

북한이 유엔총회에서 우주개발은 각국의 보편적 권리라고 주장했다. 북한은 우주개발을 명목으로 위성 발사체와 원리가 같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발전시켜온다는 지적을 의식해서인지 ‘평화적 이용’을 강조했다.

북한 대표단 단장은 지난 15일 제75차 유엔총회 4위원회 회의에서 “우주 공간에는 국경선이 없으며 매개 나라는 우주를 평화적으로 개발하고 이용할 수 있는 보편적 권리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고 외무성이 18일 밝혔다. 이어 “우주 활동 분야에서의 선택성과 이중기준의 적용, 우주의 군사화를 반대하는 것은 우리 공화국의 일관한 립장”이라고 덧붙였다.

북한 단장은 또 “자체로 제작한 인공지구위성을 4차례 우주 궤도에 쏘아 올린 위성발사국이며 10대 우주국의 전열에 당당히 들어선 우주 강국”이라고도 주장했다.

북한은 김정은 국무위원장 집권 이후부터 우주개발국 신설, 우주개발법 선포 등을 진행하며 우주개발 연구에 힘을 쏟고 있다. 2016년 제2차 국가 우주개발 5개년 계획에 나서기도 했다.

하지만 북한의 우주개발 움직임은 ICBM과 위성 발사가 핵심 기술이나 원리가 같다는 점 때문에 주변국 우려를 사왔다. 그때마다 북한은 평화적 우주 이용을 강조해왔다.

한편 북한은 유엔총회 연설에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문제 해결을 위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차원의 대책도 요구했다. 북한 단장은 “세계의 평화와 안전보장을 기본 사명으로 하는 유엔안보리사회는 이스라엘의 영토강탈과 인권유린을 비호·조장하는 행위를 더이상 묵과하지 말고 강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