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마스크 공급 대란이 벌어졌던 올해 상반기 공공기관들이 수백만장의 마스크를 사재기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이주환 국민의힘 의원이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 특허청 산하 52개 공공기관을 전수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이들 기관은 지난 1~8월 총 74억8000여만원을 마스크 구매에 사용했다. 이렇게 사들인 마스크는 약 550만장에 달한다.
6월 말 현재 52개 기관 임직원은 모두 9만6000명으로, 1인당 매일 한 장씩 사용할 경우 57일간 쓸 수 있는 양이다.
기관별로는 한국가스공사가 14억2000만원을 들여 56만장을 구입해 가장 많았다. 이어 강원랜드 10억원(29만장), 한수원 6억8000만원(83만장), 중소기업유통센터 6억8000만원(79만장) 등 순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 중 중소기업유통센터는 기관 특성상 일반 시민 대상으로 판매하기 위해 구매한 물량이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센터 관계자는 “지난 2월 공적 마스크 판매처로 지정돼서 그달 27일부터 3월3일까지 판매 마진 없이 일반 시민 대상으로 판매했다”면서 “직원용으로 쓰인 것은 한 장도 없다”고 밝혔다.
이 의원실에 따르면 일부 기관은 계약 과정에 의심스러운 정황이 포착되기도 했다. 강원랜드의 경우 L사와만 7억2000만원의 마스크 계약을 했는데, 입찰 공고도 없이 수의계약으로 체결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L사의 KF94 마스크는 미인증 제품으로 온라인 마스크 판매 이력이 아예 없는 회사다.
이 의원은 “국민 대다수는 마스크 구입을 위해 새벽부터 길게 줄을 서는 등 전국적으로 마스크 품귀 현상이 이어졌고 정부는 ‘마스크 5부제’까지 시행했는데 공공기관은 마스크를 대량 매입해 ‘마스크 풍년’ 속에 있었다”고 비판했다.
이어 “수의계약으로 진행된 마스크 구매 과정에서 일감 몰아주기 등 불법이나 편법은 없었는지도 조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