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 월성원자력발전소의 사용후핵연료 임시저장시설인 '맥스터' 증설에 따른 후속 조치 마련을 위한 민관 협의기구가 출범했다.
지난 16일 경주시청에서 ‘맥스터 증설 협의기구’ 출범식에 이어 첫 회의가 열렸다.
맥스터 증설 협의기구는 경주시와 경주시의회,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수력원자력 등 각 기관·단체장과 주민대표 등 총 14명으로 구성됐다.
협의기구는 이달부터 내년 6월까지 8개월 활동할 계획이며, 필요에 따라 연장도 가능하다.
맥스터 증설과 관련 사업의 원활한 추진과 지역수용성 제고, 지역 지원방안 마련을 위한 다양한 논의를 진행한다.
또 추후 정기회의와 워크숍 등을 통해 월성원전의 안정적 운전과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지역상생발전 지원방안을 공동으로 마련할 방침이다.
월성원전 맥스터 증설은 7월 24일 주민의 81.4% 찬성으로 확정됐으며 8월 31일 착공식이 열렸다.
이번에 증설 예정인 맥스터는 월성 2∼4호기에서 발생하는 중수로 사용후핵연료를 보관하게 된다. 건설비는 420억원이다.
노기경 월성원자력본부장은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맥스터를 건설하고 운영할 것”이라며 “합리적인 지역 지원방안 마련을 위한 협의과정에 성실히 임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지역의견 수렴과정에서 나타난 갈등을 조속히 치유해 화합과 안정의 분위기 속에서 상생발전의 길로 나아가길 기대한다”며 “협의기구를 통해 시민들의 복지와 지역 개발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주=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