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원대 펀드 사기 혐의로 기소된 옵티머스자산운용 김재현 대표 등 경영진에 대한 첫 공판이 16일 열린다.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4부(부장판사 허선아)는 이날 특정경제범죄 가중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사기) 등 혐의로 기소된 김 대표 등 5명에 대한 첫 정식 재판을 진행한다.
최근 확산한 옵티머스 관련 정·관계 로비 의혹이 김 대표를 비롯한 공모자들의 ‘폭로전’에서 비롯된 만큼 이날 재판에서도 이들 간 책임 공방이 예상된다. 공방 속에서 로비 의혹을 밝힐 단서가 나올지도 주목된다.
김 대표 측은 앞서 열린 공판 준비기일에서 “2019년 1월쯤에야 매출채권이 허위라는 점을 명확히 인식했고 그 이전에는 범행에 공모하거나 가담한 사실이 없다”며 일부 혐의를 부인했다. 또 “피고인 윤모씨가 사문서위조를 제안했고 김 대표는 가담한 정도”라고 주장하는 등 옵티머스 이사 윤씨에게 책임을 떠넘기는 모습을 보였다.
이에 재판부는 “문서위조와 관련해 윤씨가 주도했는지 김 대표가 주도했는지가 쟁점”이라고 언급했다. 앞으로의 재판에서도 이를 집중 심리할 것으로 보인다.
사태 초기만 해도 김 대표와 윤씨 등은 ‘공생 관계’를 유지했다. 그러나 검찰 수사가 본격화하며 윤씨 등은 김 대표가 범행을 주도했다는 주장을 펴기 시작했다. 최근 유출돼 정·관계 연루설에 불을 지핀 ‘펀드 하자 치유 관련’ 내부 문건도 공범 중 한 명이 고의로 외부에 공개했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김 대표 등은 2018년 4월부터 올해 6월까지 공공기관 매출채권에 투자한다며 투자자 2900여명으로부터 1조2000억원을 끌어모은 뒤 부실채권 인수와 펀드 돌려막기에 사용한 혐의로 기소됐다. 각종 불법 거래를 무마하기 위해 정치권과 금융권에 광범위한 로비를 벌였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검찰은 옵티머스의 정·관계 로비 의혹으로 여론이 들끓자 수사팀 인력을 2배로 늘려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