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추행 의혹 고소 100일째를 맞아 288개 시민단체가 사건 공동대응을 위한 단체를 출범시켰다. 피해자는 “괴로운 과정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꿋꿋하게 살아 진실을 규명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성폭력상담소, 한국여성의전화, 한국여성민우회 등 여성·노동 시민단체들로 구성된 서울시장위력성폭력사건공동행동은 15일 서울시청 앞에서 출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박 전 시장에 대한 고소가 이뤄진 지 100일이 지나도록 진상 규명은커녕 피해자 A씨를 향한 2차 가해가 이어지고 있는 현실을 성토했다. 공동행동은 박 전 시장 사건의 진상조사 및 해결을 촉구하는 ‘1000만 시민’ 연대 서명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A씨는 공동행동이 대독한 발언문을 통해 “거주지를 옮겨도 멈추지 않는 2차 가해 속에서 다시는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없을 것 같다는 절망감에 괴로워했다”고 토로했다. A씨는 “특히 그 진원지가 가까웠던 사람들이라는 사실에 몸서리치며 앓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A씨는 또 “이 사건은 여성과 약자의 인권보호에 힘쓰라는 사명을 부여받은 조직에서 일어나서 더 절망적”이라고 지적했다. A씨는 “(이번 사건에 대한) 사회적 반성과 예방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돼 우리 사회가 더 나은 사회로 나아가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날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서울시 국감에서는 박 전 시장 성추행 의혹에 대한 야당 의원들의 비판과 질타가 이어졌다. 이은주 정의당 의원은 “서울시의 성희롱·성폭력 사건처리 매뉴얼을 보면 고충상담 요청 시 피해자 상황을 충분히 경청, 공감하고 대응방안 및 피해자 보호 조치를 시행해야 하는데 상급자와 동료들은 매뉴얼과 다른 행동을 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 의원은 “A씨가 명절에 공관에서 먹을 명절 음식을 구입하고, 혈압체크나 대리처방 등 의료법 위반 불법 행위와 부당한 업무지시를 강요받았다”고도 주장했다. 서정협 서울시장 권한대행은 “국민권익위원회 유권해석을 받아보겠다”며 “2차 가해가 일어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대답했다.
최지웅 오주환 기자 wo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