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사상스마트시티 조성사업이 본격적인 개발에 들어간다. 조성된 지 60여 년 된 낡은 사상 노후 공단이 4차산업을 주도하는 최첨단 혁신 산단으로 재탄생하게 된다.
부산시는 ‘사상스마트시티 재생사업지구계획’을 지난달 21일 산업단지계획심의위원회에서 원안 가결한 데 이어 지난 14일 이를 최종적으로 승인 고시했다고 15일 밝혔다. ‘사상스마트시티’가 2009년 국토부의 재생사업 우선 사업지구로 선정된 이후 11년 만에 첫 삽을 뜨게 됐다.
‘재생사업지구계획’은 ‘사전협상형 지구 단위 계획제도’와는 달리 고시 즉시 변경된 토지이용계획으로 지원시설 건축이 가능하다. 토지이용계획 변경으로 발생한 지가 차액에 따른 지가상승기부금은 건축 허가 신청 시 토지소유자가 직접 산정해 착공 전 납부하면 된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3월 총 사업비(1647억원)에 대한 조정 작업을 진행해 149억원을 삭감했다. 이 때문에 부산시는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었지만, 5000억원 규모로 추정되는 지가 상승기부금을 징수하게 되면서 사업추진에 더욱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다. 부산시는 징수한 지가상승 기부금을 국비 지원이 되지 않는 공원(주차장) 4곳의 보상비 등으로 사용할 계획이다.
‘사상공단’은 1960년대 공업지역으로 지정돼 신발·기계장비 등 노동집약적 수출산업으로 부산의 최대 공업지역으로 성장했으나, 전통주력산업의 쇠퇴와 기반시설의 노후화로 공해·소음 등 심각한 도시문제를 야기하며 공업지역 재생이 절실히 필요한 대표적인 지역으로 인식돼 왔다.
이에 부산시는 이곳을 오는 2025년까지 서부산의 ‘센텀시티’로 조성할 계획이다. 앞서 지난해 12월 ‘사상스마트시티’ 내 활성화 구역으로 지정된 ‘행정복합타운’의 부지 매입과 건물철거를 완료했으며 토양오염도 조사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올해 7월에는 사상공단 내 ‘폐공장(대호PNC)’을 활용하여 공공임대 산업센터, 희망상가, 부산시민혁신파크 등을 조성하는 ‘산업단지상상허브사업’이 국토부 공모사업에 선정돼 내년 말부터 본격 시행된다. 또 이 지역에 건설 중인 사상~하단 간 도시철도가 완료되면, 시민들의 접근성이 크게 향상돼 도시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하게 된다.
변성완 부산시장 권한대행은 “60여 년 된 낡은 사상 노후 공단이 4차산업을 주도하는 최첨단 혁신 산단으로 재탄생하게 되면, 동부산의 센텀시티와 더불어 부산의 산업을 주도하는 양대 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