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농가소득 1년새 8.6% 줄었다 … 農道 무색

입력 2020-10-15 14:41
전북도청사

전북지역 농가소득이 1년새 9% 가까이 줄면서 전국 최대 감소율을 기록했다. 지역경제 중심이자 국내 대표 농업지역이란 명성이 무색한 실정이다.

15일 송성환 전북도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농가소득은 평균 4121만원에 그쳐 2018년 4509만원에서 8.6%(388만원)가 감소했다.

이는 전국 평균 2.1% 감소율보다 4배가 넘는 것이다. 도시 근로자 가구 소득(6615만원)과 비교하면 62% 수준에 불과하다.

송 의원은 이 요인으로 고부가 산업이자 농수축산물 대량 수요처인 농식품 가공산업 육성사업이 신통치 않다는 점을 꼽았다.

실제로 최근 3년간 도내에서 창업한 가공 식품사는 37개사에 불과했다. 대세인 온라인 시장 개척사업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전북도는 2001년 전국 최초로 농식품 전문 온라인 쇼핑몰인 ‘거시기 장터’를 선보여 큰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그 매출액은 지난해 45억 원대에 머물렀다. 이는 전년도 57억원에서 22%(12억원)나 뒷걸음친 수치다.

이렇다보니 온라인 시장이 후발 다른 시‧도에 추월당한 것으로 파악됐다. 광역 온라인 쇼핑몰인 충남도의 ‘농사랑’(261억원), 경북도의 ‘사이소장터’(88억), 전남도의 ‘남도장터’(63억원) 등은 이미 전북을 앞질렀다.

쇼핑몰 입점도 전북은 607개 업체에 4324개 상품에 이르고 있으나 강원도는 638개 업체 5400개, 전남 650개 업체 6000개 상품을 확보하고 있다.

이에 송 의원은 14일 도정 질의에서 “보람찾는 농민, 제값받는 농업, 사람찾는 농촌, 즉 삼락농정(三樂農政)을 펼쳐온 지 7년째다. 이제는 그 결실을 맺어야만 한다고 본다”며 특단의 대책을 요구했다. 송 의원은 “농식품 가공산업 육성을 통한 안정적인 농산물 판로 확보만이 농가소득을 올리는 길”이라며 최대 소비시장이자 일자리 창출효과도 큰 농식품 가공산업 육성, 전국 최저 수준인 농외소득 증대 방안 등을 주문했다.

송하진 지사는 이에 대해 “정부가 추진중인 공익 직불제를 확대하는 방안, 전북도가 시행중인 농민 공익수당을 국가 사업화하는 방안 등을 정부에 건의하는 등 농가소득 안정화를 위해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더불어 송 지사는 “식품산업이 잘 성장하려면 연관산업의 기반이 탄탄해야 한다. 우리 지역의 강점인 식품, 종자, 미생물, 농기계, 첨단농업 등 5대 농생명 클러스터로 이뤄진 ‘아시아 스마트 농생명 밸리’ 조성사업을 추진하는 것도 이 때문”이라며 “앞으로 이를 토대로 세계 식품시장을 공략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