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국내 최초로 안전한 친환경 수소에너지를 자체 생산해 공급하는 수소차 충전소 ‘상암수소스테이션’을 19일부터 본격 가동한다. 시민들은 연말까지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상암수소스테이션은 연구목적으로 2011년 서울 상암동 월드컵경기장 인근에 설치됐다. 2018년 수소차 상용화에 따라 시민들에게 무료 개방됐지만 수소 생산량 한계, 충전압력 부족 등으로 충전소 이용에 불편이 있었다. 이에 서울시는 시민 불편을 해소하고 충전 인프라를 확대하기 위해 지난해 10월부터 상암수소스테이션의 충전 능력을 높이기 위한 성능개선공사를 진행해왔으며, 올해 10월 공사와 시험운전을 마치고 정식 운영에 들어가게 됐다.
서울시의 성능개선공사를 통해 상암수소스테이션은 1일 수소 생산량이 75㎏에서 160㎏으로 2배 이상 확대되고, 하루에 충전 가능한 대수는 10여대에서 30여대로 3배 늘었다. 충전 압력도 350bar에서 700bar로 두배 커졌다. 이에 따라 기존에 한번 충전으로 절반만 충전됐다면 이제는 완전 충전이 가능해졌다. 1회 충전으로 운행 가능 거리 역시 300㎞에서 최대 609㎞로 약 2.3배 늘어났다. 서울에서 대구까지 왕복할 수 있는 거리다.
상암수소스테이션은 국산 기술로 개발된 수소추출기를 통해 수소 생산과 충전을 한번에 할 수 있는 ‘온사이트형’ 충전소다. 수소를 직접 생산하기 때문에 먼 거리에 있는 수소생산지에서 수소를 가져오지 않아도 돼 운송비가 절감되고 공급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기존에는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에서 수소를 분리해 생산하는 방식만 가능했다면 이제는 도시가스에서 수소를 분리하는 방식까지 추가돼 상업용 최초로 두가지 공급방식이 동시에 가동된다. 특히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를 활용하는 방식은 도시가스만 사용하는 다른 개질식 수소충전소보다 친환경적이다. 서울시는 향후 친환경 수소충전소를 선도하는데 상암수소스테이션이 중심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상암수소스테이션 운영은 에너지 전문기관인 서울에너지공사가 맡는다. 근무인력을 확충해 주말에도 운영하고 충전 가능 시간도 평일 오전 8시~오후 10시(기존 오전 9시~오후 6시)로 확대해 수소차 이용자들의 불편을 해소해 나갈 계획이다. 또 보다 많은 시민들이 충전소를 이용할 수 있도록 1회 수소 충전 용량도 4㎏으로 정해 1일 충전량을 40대로 확대했다. 충전소 이용은 예약제로 운영한다. 이용을 원하는 시민은 애플리케이션(SangAm H2)이나 홈페이지(www.상암수소충전소.com)를 통해 예약할 수 있다. 내년부터는 유료로 전환된다.
상암수소스테이션은 2011년 운영을 시작한 이래 사고가 한번도 발생하지 않은 안전한 수소충전소다. 서울시는 마포구, 한국가스안전공사와 협조해 월 1회 이상 안전진단을 실시하는 등 안전에 최우선을 두고 충전소를 운영해 나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서울시는 19일부터 저공해차 구매보조금 지원시스템을 통해 제2차 수소차 보조금 신청을 받는다. 총 300대를 지원한다. 시는 올해 교통분야 대기질 개선을 위해 친환경 수소차 1237대 보급을 목표로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다. 수소차는 내연기관차와 달리 엔진이 없어 대기오염물질이 배출되지 않을 뿐 아니라 공기 중 미세먼지를 줄이는 역할도 한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