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인체에 무해한 초미세 물방울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을 활용해 실내 공기중에 있는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잡는 ‘살균용 공기정화기’ 개발에도 착수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이승섭 기계공학과 교수와 정지훈 박사팀이 코로나19 바이러스 살균 기능을 갖추고 초미세 물방울 대량 생성이 가능한 ‘정전분무’ 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정 박사는 “정전분무는 기계력이 아닌 전기력으로 물방울을 분무하는 기술”이라며 “전기력으로 액체를 분해하는 과정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 살균 기능이 발휘하는 구조”라고 말했다.
정전분무 기술로 만들어진 초미세 물방울에는 ‘OH 래디컬’이 들어가 있다. OH 래디컬은 불안정한 화학구조로 반응성이 매우 높고 강력한 산화력 때문에 세균·바이러스 살균 기능을 갖추고 있지만, 인체에는 전혀 해를 끼치지 않는 천연물질이다. 공기에선 수명이 매우 짧지만 물방울에 가두면 수명이 많이 늘어나는 특성이 있다.
OH 래디컬을 함유하는 초미세 물방울은 일본 파나소닉의 ‘나노이 기술’이 세계에서 가장 앞서 있다. 파나소닉은 이 기술로 만들어진 초미세 물방울이 코로나19 바이러스 살균 효과가 있다는 실험 결과를 7월 말 발표한 바 있다. 다만 초미세 물방울 양이 매우 적고 인가전압이 높아 인체에 해로운 오존이 생긴다는 문제가 있었다.
KAIST 연구진은 이런 문제를 극복하려고 폴리머 재질의 초미세 노즐을 이용해 정전분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초미세 물방울을 대량 생성하는 데도 성공했으며, 인가전압이 낮아 정전분무가 오존 발생 없이 안정적으로 구현했다.
연구진은 초미세 물방울 양산이 가능한 ‘폴리머 초미세 노즐 정전분무’ 기술을 기반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 살균용 공기정화기 개발에 착수했다. 물을 이용한 살균 방법으로 인체에 해가 없어 코로나19 방역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했다. 정 박사는 “노즐을 공기정화기에 적용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세종=최재필 기자 jp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