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옛전남도청복원추진단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오는 15일부터 27일까지 옛 전남도청 건물에 대한 탄흔조사를 위해 조사대상 건물 주위 25m 이내 일반인의 접근을 통제한다고 14일 밝혔다.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시민군 본부로 사용된 옛 전남도청은 ‘최후의 항전지’이자 5월 사적지로 건물 곳곳에 계엄군 등의 탄흔이 남아 있다.
접근 통제는 지난 8월부터 실시 중인 옛 전남도청 6개동 탄흔조사 작업의 일환이다. 탄흔조사에는 방사선 촬영과 감마선 투과 등이 이뤄져 해당기간 출입통제 등 안전조치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옛 전남도청 조사구역에는 접근통제를 위한 안전 가림막이 설치된다. 광주지하철 1호선과 금남지하상가 입구도 일부 차단한다.
만일의 방사선 노출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주로 야간에 방사선 촬영을 시행할 예정이다. 방사선 촬영은 총 2회 실시될 예정이다.
탄흔조사는 도청 본관, 도청 회의실(구 민원봉사실), 수목 6그루에 대해 열화상촬영·금속탐지 기법 등이 동원된다. 복원추진단과 문화전당은 기존 조사대상 구역 중 탄흔이 나올 것으로 추정되는 구역을 중심으로 방사선 촬영 등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일반인들의 접근 제한을 위한 통제는 15일 오후 3시부터 부분 시행되다가 19일부터 27일까지는 이 일대 접근을 완전히 차단하게 된다. 복원추진단과 문화전당은 방사선 2차 조사는 11월 초 또는 중순경 실시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