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이 이르면 14일 회장직에 오른다. 수석부회장 자리에 오른 지 2년 1개월 만이다. 정주영·정몽구에 이어 3세 경영 체제를 본격화하며 첨단 모빌리티 혁신에도 한층 속도를 올릴 것으로 보인다.
13일 재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이르면 14일 임시 이사회를 열고 정 수석부회장을 회장으로 승진 선임할 예정이다. 그가 회장직에 오르면 아버지인 정몽구 회장은 2000년 현대차그룹 회장에 오른 지 20년 만에 명예회장으로 물러나게 된다.
1970년생인 정 수석부회장은 휘문고와 고려대 경영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샌프란시스코경영대학원에서 공부했다. 1999년 현대차 구매실장·영업지원사업부장을 시작으로 현대·기아차 기획총괄본부 부본부장(부사장), 기아차 대표이사 사장, 현대차그룹 기획총괄본부 사장, 현대모비스 사장 등을 역임했다.
업계에서는 정 수석부회장에게 그룹 지휘봉을 넘기는 과정이 이미 상당 부분 진행돼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2년 전 그가 현대차 부회장에서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으로 승진할 때만 해도 사측은 ‘회장 보필’ 역할이라며 말을 아꼈다. 그러나 지난해 3월 정 수석부회장은 현대차와 현대모비스 대표이사를 맡았고 올해 3월 현대차 이사회 의장에 오르는 등 사실상 그룹 경영 전면에 나섰다.
정몽구 회장이 지난 7월 중순 대장게실염으로 입원해 아직 치료 중이지만 경영 공백을 우려하는 목소리는 나오지 않았다. 정 수석부회장이 이미 재계 2위 그룹 대표로 대외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각각 만나 전기차-배터리 사업 협력을 도모한 바 있다.
문지연 기자 jy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