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년째 찬 영도바람…정년 앞둔 김진숙은 복직을 외친다

입력 2020-10-13 18:22
김진숙 민주노총 부산지역본부 지도위원이 지난 7월 28일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본점 앞에서 열린 한진중공업 해고 노동자 김진숙 복직 응원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35년 전 한진중공업에서 해고된 김진숙 민주노총 부산본부 지도위원이 정년을 2개월 앞두고 복직을 촉구하고 나섰다. 정부 산하 기관의 복직 권고에도 불구하고 변화가 없는 현실을 규탄한 것이다.

전국금속노동조합은 13일 오전 부산 한진중공업 영도조선소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민주화보상심의위원회가 두 번에 걸쳐 김 위원 복직 권고를 내렸다”며 “정부가 부당 해고를 인정한 만큼 김 위원은 정상적으로 복직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용접공으로 대한조선공사(현 한진중공업)에 입사한 김 위원은 1986년 노조 집행부를 비판하는 유인물을 작성했다는 이유로 해고됐다. 민주화 운동 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 심의위원회(민주화보상심의위)는 2009년 말 “김 위원이 민주화 운동에 참여했고 부당해고를 당했다”고 인정했다.

전국금속노동조합 관계자들이 13일 오전 부산 한진중공업 영도조선소 정문 앞에서 김진숙 민주노총 부산본부 지도위원의 복직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전국금속노동조합 제공

노조는 “민주화보상심의위원회 첫 결정이 난 지 10년이 지났다”며 “한진중공업은 ‘법적 절차가 종료돼 수용할 명분이 없다’ ‘김진숙이 해고된 대한조선공사와 한진중공업은 회사가 다르다’며 노조의 교섭 요구에 응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한진중공업 주채권단인 산업은행은 ‘해고자의 복직 문제는 회사가 결정할 일’이라는 입장”이라며 “한진중공업은 여전히 산업은행의 눈치를 보는 것인지 노조가 해고자 복직 문제와 관해 대화하기를 여러 차례 촉구했는데도 현재까지 묵묵부답”이라고 지적했다.

이날 함께 기자회견에 나선 김 위원은 “한시라도 빨리 복직 재권고를 내려줘 동료들의 곁에 하루라도 (더) 머물 수 있게 해주십시오”라고 호소했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