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강제징용 문제에 대한 한국 정부의 조치가 없으면 스가 요시히데 총리는 한·중·일 정상회담에 참석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교도통신은 12일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한국 정부는 이번 한·중·일 정상회담을 11월 말쯤 서울에서 개최하는 방안을 추진해왔다. 한·중·일 정상회담은 3개국이 돌아가면서 개최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지난달 말 강제동원 배상 소송의 피고인 일본 기업 자산 매각 문제와 관련해 한국 측이 적절한 대응을 하지 않으면 스가 총리의 방한은 있을 수 없다는 견해를 전달했다고 한다.
앞서 일본 외무성 간부는 강제동원 배상 소송과 관련, 한국 정부가 일본 기업 자산을 매각하지 않는다고 약속해야 총리가 한국을 방문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한국 정부는 사법부 판단에 행정부가 개입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한·일 정부의 입장이 평행선을 달릴 경우 연내 한·중·일 정상회담은 무산될 것으로 보인다. 교도통신은 “일본은 이전에 정상회담 참석을 외교 카드로 쓰는 다른 나라의 수법을 비판해 왔다”며 “이번 대응은 모순된다는 인상을 부정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