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백신이 개발돼도 사태가 종식되기보다 혼란이 더욱 가중될 것이란 경고가 나왔다.
뉴욕타임스(NYT)는 12일(현지시간) “백신이 승인되더라도 혼란과 혼동이 닥칠 것”이라며 “미국인은 어떤 백신이 가장 좋은지 모른 채 몇 개의 ‘그저 그런 백신’을 두고 선택해야 할 상황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미국에서 내년 봄이나 여름에 첫 코로나19 백신 여러 종이 나올 것이지만 현재 진행되는 백신 임상시험 방식 때문에 어떤 백신이 상대적으로 우수한지 알 수 없고 혼란을 피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NYT가 꼬집은 부분은 제약사마다 따로 진행 중인 임상시험 방식이다. 앞서 앤서니 파우치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소장을 비롯한 과학자들은 여러 백신을 한꺼번에 시험해 서로 비교하는 ‘메가 테스트’를 주장했지만 제약사별 백신 개발방식이 노출될 수 있고 짧은 시간에 대규모 참가자를 모집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결국 제약사별로 임상시험을 진행하되 절차에 대해 정부 지침을 따르고 국립보건원(NIH)이 모든 임상시험 참가자를 대상으로 시험을 재연하는 것으로 정리됐다.
여기에 합의한 제약사만 NIH의 대규모 임상시험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고 재정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점도 문제다. 아스트라제네카와 모더나, 존슨앤드존슨은 NIH 네트워크에 참여해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지만 선두주자 격인 화이자는 불참했다.
NYT는 “백신 선택은 어려운 일일 것이다. 지금까지의 다른 통계적 연구와 마찬가지로 임상시험에도 오차범위가 있기 때문에 한 시험에서 ‘50%의 효과’를 보인 백신이 다른 시험에서 ‘60%의 효과’를 나타낸 백신보다 실제로는 더 효과적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 제약사의 백신이 사용승인을 받으면 다른 백신 임상시험 참가자들이 이탈해 해당 시험이 어그러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NYT는 “(현재) 임상시험 초기 단계인 백신은 승인받은 백신보다 더 낫다는 점을 입증해야 하는데 (두 백신 간) 차이는 백신과 가짜 약의 차이보다 작을 것”이라며 “결국 더 길고 규모가 큰 임상시험을 해야 하는데 백신을 개선하려는 작은 규모의 스타트업 대부분은 비용을 감당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속도전으로 진행 중인 임상시험도 우려를 낳는다. 백신이 3단계의 임상시험 뒤 시중에 나오려면 통상 수년이 걸린다. 반면 코로나19 백신은 1년여 만에 이뤄질 것으로 보여 부작용이 나오면 전면 회수될 가능성이 크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