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나경원 전 의원이 12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까지 나서서 검찰에 ‘수사 가이드라인’을 주고 있다”며 반발했다.
나 전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여당 최고위원 완장이 이렇게나 무섭다. 검찰을 움직여서 내게 없는 죄라도 뒤집어씌우고 말겠다고 윽박지르는 것과 다름없다”고 주장했다.
민주당 신동근 최고위원이 이날 최고위에서 “검찰은 1년간 나 전 의원은 소환하지 않고 안진걸 민생경제연구소장만 열 차례 조사했고, 주임검사만 5차례 바뀌었다. 나 전 의원이 자신감을 가질 만하다”고 비판하자 이처럼 반박한 것이다.
나 전 의원은 자신과 가족을 둘러싼 비리 의혹을 제기한 안진걸 소장을 향해서는 “민주당 공천관리위원까지 지낸 인사가 나를 향한 고소·고발을 남발했다”면서 “괘씸죄에 단단히 걸렸다”고 썼다.
나 전 의원의 비판에 신 최고위원도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나 전 의원이 경험한 세계가 저런 망상적 피해의식을 불러왔을 것”이라고 받아쳤다. 그는 “(그 세계는) 최고위원이 완장이 되고, 그 사람의 발언이 수사 가이드라인이 되고, 없는 죄를 만들어낼 수 있는 세계”라고 비꼬았다.
신 최고위원은 이어 “죄가 없으면 검찰에 나가 증명하면 될 일이고, 검찰이 기소하면 법정에서 죄 없음을 다투면 될 일”이라면서 “수사와 재판의 터널을 통과하지 않은 진실은 진실이 아닌 경우가 많다”고 덧붙였다.
한편 나 전 의원의 아들 특혜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형사7부(부장검사 이병석)는 나 전 의원 아들의 지도교수인 윤형진 서울대 교수를 불러 조사했다.
검찰 관계자는 “윤 교수에게 절차상 확인할 것이 있어 부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 교수는 나 전 의원의 아들 김모 씨에게 서울대 의과대 실험실 사용 편의를 제공하고, 연구 발표문에 김씨의 이름을 올려주는 특혜를 제공한 의혹을 받고 있다.
검찰은 최근 서울대병원을 압수수색해 윤 교수의 연구노트 등을 확보했고, 이와 관련 사실 관계 확인을 위해 윤 교수를 부른 것으로 전해졌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