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문 대통령의 남북 종전선언 지지 입장”

입력 2020-10-12 21:02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오후 청와대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통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러시아는 문재인 대통령이 최근 유엔총회 연설 등에서 제안한 ‘한반도 종전선언’과 관련해 지지 입장을 갖고 있다고 이석배 주러 한국대사가 12일(현지시간) 밝혔다.

이 대사는 이날 주러 한국대사관에 대한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의 화상 국정감사에서 이같이 답했다.

이 대사는 ‘한반도 종전선언 문제에 대한 러시아 측의 입장’을 묻는 무소속 김홍걸 의원의 질문에 “러시아는 남북 대화와 북미 대화의 진전을 통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가 이루어지고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 체제가 정착돼야 한다는 입장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에 따라 한반도에서의 전쟁 종식을 선언하고 양측(북미)이 한반도의 평화 의지를 서로 확인한다는 점에서 러시아가 이 부분(종전선언 문제)에 공감할 것으로 생각한다”면서 “북한 핵 고도화 과정에서 북한과 러시아 간 협력이 이뤄지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국민의당 이태규 의원이 ‘러시아가 대북제재를 잘 이행하고 있다는 근거가 있는가’라고 질의하자 이 대사는 “러시아는 대북제재에 언급된 북한 선박의 입항을 허가하지 않고 있고 북한의 대외경제은행을 폐쇄했으며, 지난해 12월 말까지 러시아 내 북한 노동자 전원을 본국으로 출국하도록 조치했다”고 설명했다.

또 일부 북한 노동자들이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러시아에 체류하고 있지만 이는 유엔 안보리 제재를 위반하는 수준은 아니라고 전했다.

러시아가 유엔 대북제재위에 제출한 중간보고서에 따르면 러시아 내 체류 북한 노동자는 511명가량이다. 이들은 북한의 국경 폐쇄로 귀국을 하지 못하고 있으며 임금을 받으며 노동에 종사하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사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방한 가능성이 크다는 점도 강조했다. 그는 “푸틴 대통령의 방한 의지는 확고하다”면서 “연내 방한을 염두에 두고 러시아 측과 계속 협의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 대사는 이 밖에 러시아 내 한류 열기와 관련, 최근 한국어가 러시아 초·중등학교의 정식 제2외국어 교과목으로 채택됐다고 소개하면서 현재 교과서 개발 및 교과서 검·인정 심사가 진행 중이라고 소개했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