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부터 제주도가 휘발유차와 경유차 등 내연기관차의 신차 등록을 중단한다.
제주도는 제주도의회와 공동으로 12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친환경 차량 보급 계획을 포함한 ‘제주형 뉴딜’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지난 7월 정부가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발표한 이후 제주도는 제주 실정에 맞는 지역주도형 뉴딜 과제 발굴에 집중해왔다.
이날 발표된 제주형 뉴딜 종합계획은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는 청정 제주’를 비전으로 △그린뉴딜 △디지털뉴딜 △안전망 강화 3개분야 24개 중점과제로 설계됐다.
2025년까지 국비와 지방비 6조1000억원을 투입해 일자리 4만4000개를 창출한다는 계획을 담고 있다.
그린 뉴딜의 핵심 과제는 그린뉴딜 선도지역 지정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전력 거래 자유화, 2030년 이후 내연차량 신규 등록 제한, 2023년 제28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제주유치 등이다.
도는 정부에 ‘그린뉴딜 선도지역’ 지정을 건의해 특례를 부여받는 방식으로 제주에서 생산된 신재생 전기를 한국 전력을 거치지 않고 생산자가 자유롭게 판매하는 전력거래 자유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제주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은 도내 전기 발전량의 14.4%, 전기사용량의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도내 전력망이 재생에너지 발전량 증가를 수용하지 못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내연차량 신규 등록 제한도 추진한다. 도는 2030년부터 휘발유차와 경유차의 신규 등록을 제한함으로써 제주를 온실가스 배출없는 전기차 운행 도시로 완성시켜 나갈 방침이다.
아울러 도는 지난 10년 저탄소사회 전환을 끌어온 경험을 바탕으로 2023년 제28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를 유치해 제주와 대한민국의 환경 보전 노력을 전 세계에 보여준다는 계획이다.
디지털뉴딜 분야에서는 스마트·정보통신기술(ICT)을 육성해 문화 관광 교통 치안 재해 재난관리 등 도민 삶 전반에 도입한다.
제주에서 생산되는 농축산물을 지역에서 우선 소비하는 먹거리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고, 드론을 제주의 농업 교통 물류배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증한다.
안전망 강화 분야에서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개인정보 수집을 최소화한 제주안심코드를 개발해 스마트방역체계를 구축한다.
노인 장애인 등 취약계층 복지가 축소되지 않도록 ICT기술을 활용한 비대면 헬스케어, 비대면 통합돌봄도 추진한다.
원 지사는 이날 브리핑에서 “기후 위기와 코로나19는 자연과 인간이 어떤 관계로 공생해야 하는 지 절박한 질문을 인류에 던져주었다”며 “이미 자연과 인간의 청정과 공존을 핵심가치로 결정한 제주도는 앞으로 난개발 차단과 청정환경 보전, 탄소 중립으로의 에너지 전환, 디지털산업 육성을 통한 안전하고 편안한 삶 창출에 박차를 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