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현(50·수감 중) 옵티머스자산운용 대표가 금융감독원의 서면 검사가 시작되자 주변에 “윤석호(43·수감 중) 사내이사의 부인이 청와대에서 근무를 해서 엮일 수 있다”는 식으로 걱정하는 말을 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윤 이사는 사태 초기 자문 변호사들에게 “내가 다 했다”는 식으로 책임을 인정했다가 금감원이 현장 검사에 돌입하자 “김 대표가 다 시킨 것”이라고 말을 바꾼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들의 진술 등을 토대로 펀드 자금 추적과 유력자들의 펀드 사기 개입 의혹 수사에 집중하고 있다.
12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김 대표는 검찰에 체포 당하기 직전인 지난 7월 지인과의 통화에서 “윤 이사에게 뒤통수를 맞았다”는 말을 했다고 한다. 김 대표와 윤 이사는 애초 금감원 검사를 대비해 지난 6월 한 대형 법무법인과 자문계약을 맺고 자문 회의를 가졌다. 이때 윤 이사는 “내가 다 한 일”이라며 “환매중단 책임은 내가 지겠다”고 말했다고 한다. 실제 윤 이사와 김 대표는 지난 5월 검찰 수사에 대비해 윤 이사를 사기 주범으로 위장하기 위한 계획 등이 담긴 문건을 작성했었다.
하지만 이후 윤 이사는 금감원 현장 조사 과정에서 “하드디스크는 어디에 감춰 두었다. 모두 김 대표가 시킨 것”이라고 말을 바꿨다고 한다. 윤 이사는 지난 6월말 검찰 조사 과정에서 서류 위조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환매중단 책임은 김 대표에게 있다는 취지로 진술했다. 검찰은 이후 김 대표를 체포해 조사했고 지난 7월 둘 다 구속 기소됐다. 검찰의 한 관계자는 “윤석호 입장에서는 김재현이 다 해결할 수 있다고 믿었던 것 같다”며 “자신이 책임을 지면 김재현이 알아서 정상화하겠다고 했는데 실현이 안된 것”이라고 말했다. 검찰은 결국 펀드 자금의 석연찮은 운용의 정점에 김 대표가 있다고 보고 자금 흐름을 추적하고 있다.
김 대표는 금감원 검사 당시 주변에 조언을 구하면서 “펀드에 워낙 유명한 사람들이 많다”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데 언론화되면 ‘라임 사태’처럼 포장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을 했다고 한다. 윤 이사의 부인이 청와대에서 근무했던 이력을 이야기하며 “청와대가 엮일 수도 있다”고도 걱정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김 대표는 지난 5월 10일 작성한 ‘펀드 하자 치유 관련’ 문건에서 ‘본질과는 다르게 권력형 비리로 호도될 우려가 있다고 판단된다’고 적기도 했다.
검찰은 5000억원 규모의 펀드 사기 범행에 실제 유력자들의 뒷배 역할이 있었는지 따지고 있다. 검찰은 “제반 의혹들을 법과 원칙에 따라 철저하게 수사하고 있다”며 “피고인들에게 양형기준 범위 내에서 가능한 최고형을 구형해 엄정한 처벌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중앙지법 형사34부(부장판사 허선아)는 오는 16일 자본시장법 위반·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사기 등 혐의로 구속 기소된 김 대표와 윤 이사 등에 대한 첫 공판을 진행한다.
구승은 기자 gugiza@kmib.co.kr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