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조원대 투자 피해를 초래한 라임·옵티머스자산운용 사모펀드 사태가 여권 연루설과 결합되며 정국의 화약고로 떠올랐다.
12일 국회 국정감사에서 야당은 “단순 사모펀드 불완전판매 사안이 아닌 정권 차원의 게이트”라며 맹공을 퍼부었다. 서울남부지검 증권범죄합동수사단(합수단) 폐지와 금융위원회의 옵티머스 특혜 의혹을 연이어 거론하며 “보이지 않는 손이 작동했다”고 주장했다.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의힘이 면책 특권 뒤에 숨어 의혹 부풀리기에 몰두하고 있다”며 “무분별한 의혹 제기에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거세게 반발했다.
윤재옥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정무위의 금융위 국감에서 “지금까지 행태를 보면 합수단이 폐지되고, (사모펀드 관련) 검찰 수사가 검찰 총장한테도 보고되지 않고 있다”며 “권력형 게이트를 막기 위한 ‘보이지 않는 손’이 작동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옵티머스 측이 정관계 인사 이름을 적어뒀다는 이른바 ‘펀드 하자 치유’ 문건도 논란이 됐다.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은 은성수 금융위원장을 향해 “해당 문건을 봤느냐”며 “채동욱 전 검찰총장이 옵티머스 고문으로 활동하며 이재명 경기 지사 등과 만나 인허가 청탁을 했다는 의혹이 있다”고 주장했다. 같은 당 성일종 의원도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와 양호 전 나라은행장이 옵티머스와 관련된 것을 아느냐”고 추궁했다.
은 위원장은 “저희가 알 수 있는 부분이 아니다”고 해명했다. 합수단이 해체되기 전 유관 부처인 금융위가 반대 의견을 내지 않은 것에 대해선 “법무부가 조직을 개편한다는데 다른 부처가 뭐라고 하는 것이 일반적이진 않다”고 답했다.
금융위 역시 옵티머스에 특혜를 준 것 아니냐는 의혹에 휩싸였다.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은 2017년 대주주 변경 사후 승인을 신청하던 김재현 당시 옵티머스 대표와 금융위 자산운용과 직원 간의 통화 녹취를 공개했다. 금융위 직원이 “민원실 1층에 오셔서 전화주시면 내려가서 접수받도록 하겠다”고 말하자, 김 대표는 “신청서를 양호 회장(전 나라은행장)께 받아서 준비해 가겠다”고 했다.
김 의원은 “금융위 과장이 1층에 내려가 서류를 받는 게 말이 되느냐”며 “양 전 행장 이름이 거론된 것도 금융위 윗선과 관계가 있지 않고선 있을 수 없는 얘기”라고 주장했다. 은 위원장은 “자산운용과장이 아닌 담당 직원”이라며 “양 전 행장을 언급한 건 (금융위 직원이 아닌) 김 대표”라고 해명했다. 금융위는 입장문을 내고 “특정 업체에 대한 ‘특혜’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밝혔다.
법사위 국감에서도 ‘라임·옵티머스 사태’ 관련 검찰 수사 상황이 도마에 올랐다. 추미애 법무부 장관은 강기정 전 청와대 정무수석이 라임 측으로부터 5000만원을 받았다는 진술과 관련해 “그런 진술이 나와 (서울중앙지검이) 조사했고, (전달책이) 돈을 받은 바 없다는 게 조서에 기재돼 있다고 보고받았다”고 말했다. 유상범 국민의힘 의원이 “수사 중인 사안을 너무 많이 말하는 것 아니냐”고 지적하자, 추 장관은 “국감장 질의로 마치 사실인 것처럼 오해가 야기되고 있다면…”이라고 얼버무렸다.
민주당은 ‘무분별한 정치 공세’라는 입장을 이어갔다. 최인호 수석대변인은 “국민의힘이 라임·옵티머스 사태와 관련해 실체가 없는 의혹들을 제기하고 있다”며 “의혹 당사자의 실명과 근거를 공개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홍정민 원내 대변인도 “검찰에서 엄정히 수사하길 바란다는 게 일관된 입장”이라고 했다.
양민철 이가현 기자 listen@kmib.co.kr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