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1단계 조치가 12일 적용되기 시작한 가운데 방역 당국이 “또 다른 방역의 시험대가 시작됐다”며 경각심을 유지해 줄 것을 거듭 당부했다. ‘거리두기 1단계 완화’가 안심해도 된다는 신호가 아니라 새로운 차원의 방역이 시작된 것으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국내 신규 확진자는 여전히 매일 50~70명 발생하고 있고, 또 잠복해 있는 감염이나 집단감염의 가능성이 있어 경각심을 낮출 수 없는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정 본부장은 특히 “거리두기 단계 조정에 따라 경각심이 흐트러질까봐 가장 우려된다”면서 “코로나 확산 시에는 우리의 건강과 안전, 경제 모두에 큰 위험요인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정 본부장은 현재 코로나19 재유행을 또 일으킬 수 있는 위험요인도 구체적으로 짚었다. 기존에 강조했던 밀접·밀집·밀폐 등 3밀 환경 외에 가을 산행과 같은 단체 여행이나 행사, 기온·습도 등도 현재의 위험요인으로 꼽혔다.
그는 “코로나19 감염은 환기가 안 되는 밀폐된 환경, 거리두기가 되지 않는 밀접·밀집한 공간, 즉 3밀 환경이라면 어떤 시설이나 장소에서도 전파가 가능하다”면서 “단체 버스 여행, 여행 후에 이어지는 식사와 뒤풀이 모임 등을 통한 전파도 위험하다. 가급적 가족 단위의 안전한 여행을 해달라”고 강조했다.
기온과 습도가 낮아지는 가을철 환경도 유의해야 할 요소다. 정 본부장은 “바이러스 생존기간이 길어지고 또 실내 활동이 증가하는데 환기는 더욱 소홀해질 수 있다”며 “자연 환기와 소독 등 방역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최근 의료기관, 요양시설에서 코로나19 집단감염이 잇따르는 점도 주의할 요소다.
최근 사례인 서울 도봉구의 정신과 전문병원인 ‘다나병원’ 관련 확진자는 현재까지 총 59명이다. 재활전문 병원인 경기 의정부시 ‘마스터플러스병원’ 사례에서도 51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정 본부장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유행 지역에서는 노인의료복지시설, 정신건강증진시설 등 고위험시설의 종사자나 출퇴근하는 이용자를 대상으로는 일제 선별검사를 하는 방안을 지방자치단체와 기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