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에서도 주택 가격 상승의 양극화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2일 국토교통부와 통계청이 국민의힘 김상훈 의원(대구 서구·국토교통위원회·사진)에게 제출한 ‘대구 유주택 가구의 주택자산 현황’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상위 10%(주택자산가액)의 주택자산은 1억7300만원 증가한 반면 하위 10%는 600만원이 증가하는 데 그쳤다.
상위 10%의 주택자산 증가폭은 이번 정부 들어 늘어났는데 2015~2016년 6억800만원에서 6억4100만원으로 3300만원 증가한 반면 이번 정부가 들어선 2017년에는 6억9500만원으로 전년 대비 5400만원, 2018년에는 7억8100만원으로 8600만원이 증가했다.
반면 하위 10%의 경우 2015년 4100만원에서 2016년에 4300만원으로 200만원 증가했고 2017년에는 100만원 증가한 4400만원, 2018년에는 300만원 늘어난 4700만원이었다. 상위 10%와 달리 자산의 증가세가 둔화됐다.
상·하위 10% 간 주택 자산 격차는 2015년 5억6700만원에서, 2018년 7억3400만원으로 1억6700만원 가량 더 늘었다. 더욱이 자산 9분위(상위 10% 바로 아래)도 주택가격 상승분이 1억원을 넘지 못하는 등 집값 상승의 효과가 초고액 자산가들에게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김상훈 의원은 “문재인 정부 아래 집값 상승이 집을 가진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은 물론 집을 가진 사람들 사이도 갈라놓았다”며 “양극화된 자산은 결국 대구의 미래세대까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앞으로 일어날 부작용에 대해 지금부터라도 논의가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