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주상복합아파트 화재 사고의 최초 발화지점이 3층 상가 테라스라는 경찰 결과가 나왔다. 다만 화재 원인을 알 수 없어 추가 수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울산경찰청 수사전담팀과 수사형사팀은 11일 오전 11시부터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울산소방본부, 전기안전공사, 가스안전공사 등 유관기관과 함께 울산시 남구 삼환아르누보 주상복합 아파트에서 화재 원인을 찾기 위한 2차 합동 감식을 진행했다.
▥“화재 발화 부위는 3층 테라스”
경찰에 따르면 합동 감식을 벌인 결과, 화재 최초 발화점이 3층 테라스로 확인했다. 하지만 화재 원인에 관해서는 확인하지 못했다며 수사가 더 필요하다고 했다.
소방당국은 화재 초기 “3층에서 처음 불길을 목격했다”는 인근 주민의 신고 등을 토대로 3층 테라스 외벽 쪽에서 발견된 불에 탄 흔적이 고층으로 올라갈수록 ‘V자’ 형태로 퍼져 있는 것을 확인했다. 애초 소방당국에 최초로 접수된 신고는 “12층 테라스에 있는 에어컨 실외기에서 연기가 난다”는 내용이었다.
감식에 참여한 방경배 울산경찰청 과학수사계장은 “감식의 첫 번째 목적은 발화 원인을 규명하고 발화 부위를 특정하는 것”이라면서 “이날 감식에서 발화 부위는 3층 야외 테라스에 있는 나무 데크로 확인했다”고 말했다.
방 계장은 “통상 발화 지점을 특정할 때는 연소 패턴, 그을림, 탄화 심도 등을 전반적으로 확인한다”라면서 “3층에서 아주 높은 온도에서나 발생하는 시멘트 박리 현상이 확인됐는데, 이를 고려했을 때 오늘 감식에 참여한 기관 사이에 발화 지점에 대한 이견은 없었다”고 덧붙였다.
전담팀이 아파트 화재 현장을 확인한 결과 3층 테라스 외벽 쪽에서 발견된 불에 탄 흔적이 고층으로 올라갈수록 ‘V자’ 형태로 퍼져 있었다. 감식 결과와 종합하면 3층에서 시작된 불이 화재에 취약한 건물 외장재에 옮아붙으면서 불이 커진 것으로 추정된다.
▥“화재 원인은 추가 수사가 필요해”
다만 정확한 화재 원인은 현장 감식만으로는 확인할 수 없어 수사가 이어질 전망이다. 전담팀은 지난 9일 관리사무소에서 화재 원인과 최초 발화지점을 규명할 서류와 장비 등을 확보했다. 전담팀은 또 이 주상복합아파트 관리사무소에서 CCTV 영상과 관련 자료를 제출받아 분석 중이다. 인근 건물에 설치된 CCTV 영상도 확보한 상태며 목격자와 신고자를 상대로 화재 당시 상황을 조사 중이다.
전담팀은 또 순식간에 건물 전체로 불길을 퍼뜨린 원인으로 지목된 건물 외장재, 알루미늄 복합패널에 대한 품질 이상 여부도 따질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건물 외장재인 알루미늄 복합패널이 ‘불쏘시개’ 역할을 한 것으로 보고 있다. 소방당국은 지난 8일 화재 당시 신고 5분 만에 현장에 도착했지만, 알루미늄 복합패널 사이 폴리에스터 재질 충진재에서 불씨가 반복적으로 되살아나면서 불길을 잡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이번에 불이 난 아파트는 지하 2층, 지상 33층 규모로 높이 113m인 주상복합아파트다. 큰 인명 피해를 낼 뻔했지만 다행히 단 한 명의 사망자도 내지 않은 채 진화됐다.
주민들이 신속하게 건물 중간에 있는 피난안전구역으로 피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화재 당시 77명의 입주민은 이 건물의 15층과 28층에 있는 중간 대피층과 건물 옥상에 피해있다가 소방대원들에게 구조됐다. 연기 흡입 등 경상으로 병원에 입원했던 93명의 주민은 현재 대부분 퇴원했다.
이 아파트에 거주하는 127세대 390여 명의 입주민은 인근 스타즈 호텔 등에 임시로 대피해 있다.
▥화재 보험처리는?
화재 입주민 보상은 아파트가 단체화재보험에 가입한 상태여서 세입자를 포함한 실거주자들은 손해사정을 거쳐 보험금을 지급받게 된다.
아파트는 삼성화재 단체화재보험에 가입한 상태다. 삼환아르누보 보험 가입금액은 건물 426억원, 가재도구 63억원, 대물 10억원 등으로 파악됐다. 다만 이 금액은 화재 피해로 보상받을 수 있는 최고 한도액으로, 아파트 가구별 실사 등 손해사정 과정을 거쳐 최종 보험금이 결정된다.
전체 보험금이 결정되면 가구별로 나눈다. 다만 각 가구당 얼마 정도 받을지는 보험 약관에 달렸다. 보험금은 주택 소유자뿐 아니라 전·월세 세입자도 받을 수 있다.
울산시는 법률과 보험, 세무 등 분야별 전문가들 구성된 ‘현장 지원센터’를 설치해 상황이 수습될 때까지 운영할 방침이다. 또 가구별로 전담 공무원을 지정해 주민들이 필요한 부분을 신속하게 지원할 예정이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