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 난방과 전기공급을 위한 전남 나주 산포면 신도산업단지 고형연료(SRF) 열병합발전소가 수년째 수렁에서 허우적거리고 있다.
11일 광주시와 나주시 등에 따르면 지난달 산업통상부와 전남도, 나주시, 한국지역난방공사, 범시민대책위(범대위) 등 5개 이해 당사자가 참여해 구성한 민관협력 거버넌스 위원회에서 연말 안에 열병합발전소 가동절차를 밟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혁신도시 주민 입장을 대변해온 범대위가 최근 부속 합의문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며 위원회에서 전격 탈퇴하는 바람에 실마리가 또다시 꼬이고 있다.
부속 합의문은 발전소 연료를 SRF가 아닌 액화천연가스(LNG)로 100% 전환하되 지역난방공사가 투자한 SRF 발전·부속 시설 매몰 처리비용 등에 대한 손실보전 방안이 마련되지 않으면 열·전기 공급 방식을 지역난방공사 재량에 맡긴다는 내용이다.
범대위는 이를 지역난방공사가 SRF를 사용해 열병합발전소를 언제든 가동할 수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이고 조직 해체와 함께 위원회를 일방적으로 탈퇴한 것이다.
이에 따라 위원회의 핵심주체가 없는 비정상적 상황이 이어지면서 3년간 끌어온 갈등을 매듭짓기 위한 이해 당사자가 합의가 원점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지역난방공사는 이사회 추인까지 끝난 사안으로 부속합의문 문구를 고치거나 빼는 등 번복할 수 없다는 강경한 태도다.
합의서 효력 시한은 11월 30일까지로 이때까지 범대위가 위원회에 복귀하지 않으면 열병합발전소는 향후 법정소송과 주민들의 집단시위 등으로 번지면서 사태가 더 장기화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열과 전기를 동시에 생산하는 열병합발전소는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인 ‘빛가람도시’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2700억 원을 들여 2017년 말 완공했다. 열병합발전소는 온실가스 등의 배출량이 비교적 적고 30% 정도의 발전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2016년 폐쇄된 광주 상무소각장 대체시설로 문을 연 열병합발전소는 이후 잠시 시험 운전만 했을 뿐 1일 440t에 달하는 광주지역 가연성 생활쓰레기로 만든 SRF의 나주 반입 여부를 둘러싼 찬반대립으로 3년여 동안 제 기능을 못 하고 있다.
폐비닐과 플라스틱 등 광주지역 쓰레기로 생산하는 SRF 고형연료의 반입을 반대하는 나주시와 시민들은 청정연료인 LNG 보일러만으로 발전소를 가동하라고 줄기차게 요구해왔다.
‘쓰레기 연료’인 SRF로 발전소가 운영되면 독성물질인 다이옥신 배출 등 대기오염 등이 불을 보듯 뻔하다는 것이다.
나주시는 지난 8일 입장문을 내고 열병합발전소 손실보전 협상 촉진을 위해 광주시가 이기적인 쓰레기 정책에서 탈피해 책임있는 태도로 임해달라고 촉구했다.
앞서 강인규 나주시장은 2017년 12월 광주시청 앞에서 ‘광주 쓰레기는 광주에서 처리되어야 합니다’라고 적은 팻말을 들고 자치단체장으로는 이례적인 1인 시위를 벌인 바 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