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같은 감염병 재난에 대비하기 위해 ‘제2 대구의료원’(공공병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1일 지역 시민단체들에 따르면 대구경북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와 대구참여연대가 최근 공동 성명서를 내고 제2 대구의료원 설립 공론화에 대구시가 나설 것을 촉구했다. 지금 당장 시작해도 새 공공병원 건립에 3~4년이 걸리는 만큼 시가 제2 대구의료원 필요성·타당성 연구용역 등 조사연구, 공론화 기구 운용 등의 예산을 2021년 대구시 예산에 편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두 단체는 코로나19 1차 대유행 초기 대구가 겪었던 병상 부족 문제가 대구지역의 공공의료 인프라 부족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또 당시 계명대 대구동산병원 등 민간병원이 병상을 제공해 위기를 넘겼지만 시설과 인력 등의 유지에 많은 비용이 드는 감염병 환자 치료를 매번 민간병원에 의존할 수 없다고 했다.
두 단체는 243만 인구의 대구시에 감염병 환자 치료를 전담할 수 있는 공공병원이 414병상 규모의 대구의료원 하나뿐인 것을 우려했다. 공공병원으로 분류되는 경북대병원과 보훈병원, 근로복지공단 대구병원 등 특수 목적의 병원이 코로나19 1차 유행 당시 공공병원다운 역할을 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대구참여연대 관계자는 “부산, 인천, 대전, 광주, 울산 등 많은 지방자치단체가 공공의료 확충을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며 “대구도 제2 대구의료원 건립을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대구시의회에서 열린 ‘공공의료 확충방안 토론회’에서도 제2 대구의료원 건립 주장이 나왔다. 배지숙 대구시의원은 “현재 대구의료원은 대구시 공공의료서비스를 감당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시설”이라며 “신종 감염병과 각종 사회재난에 대비하고 균형적인 공공의료서비스의 발전을 위해 제2 대구의료원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대구시 반응은 아직 미온적이다. 시는 현재 기존 대구의료원을 보완하는 방안만 검토 중이다. 하지만 지역에서 제2 대구의료원 건립 요구 움직임이 확산될 경우 공론화에 대한 압박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