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추가 국시 없다’ 입장 재차 강조…“의대생 직접 사과 등 조건부 협상 아냐”

입력 2020-10-09 11:19 수정 2020-10-09 13:00

정부 “국민 공감대 없이 추가 의사국시 가능치 않다는 입장 변함 없다”
“의대생 직접 사과를 조건으로 추가 국시 논의하는 것도 부적절하다”

정부가 의대정원 확대, 공공의대 설립 등 정책에 반발하며 의사 국가고시를 거부한 의대생들에게 추가 응시 기회를 부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이창준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관은 9일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례 브리핑에서 “국민의 양해를 구하지 않고, 또 국민적 공감대가 없는 상황에서 국시 문제는 허용 여부가 가능하지 않다”면서 “(정부의) 기존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이 정책관은 전날 주요 대학병원장들이 ‘대리 사과’를 한 데 이어 의대생들이 직접 사과하면 추가 응시 기회를 주겠냐는 질의에는 조건부 논의는 없다는 입장도 밝혔다. 그는 “어떠한 조건에 따라서 뭐가 있다면 무슨 조치가 있을 것이냐는 식은 적절치 않다고 생각한다”며 “국시 문제는 어떤 협상의 대상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국민의 건강을 책임져야 할 의사가 되고자 하는 예비 의사들이 과연 기준과 판단에 따라서 행동할 수 있을 것이냐, 또 국민이 양해할 것이냐, 이런 기준을 가지고 종합적으로 판단할 사항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 정책관은 또 “앞으로 의료계에서 이런 차원에서 여러 조치가 있을 것이고 국회에서도 추가적인 논의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앞서 8일 주요 대학병원장은 의과대학 본과 4학년 학생의 국가고시 응시 문제를 해결하고자 대국민 사과를 했다. 김영훈 고려대학교의료원장은 “코로나19로 인해 매우 힘든 시기에 의대생들의 국가고시 문제로 국민들께 심려를 끼쳐드려 송구하다”며 “코로나19 상황인 만큼 국민들이 아무리 괘씸하게 보셨더라도 다시 기회를 주시면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 병원장들은 몇백번 큰절이라도 하라면 하겠다. 의대생들은 죄가 없으므로 선배들을 채찍질해달라”고 말했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