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제574주년 한글날인 9일 “한글에는 세종대왕의 애민정신과 함께 만물의 공존과 조화, 상생의 세계관이 깃들어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SNS에 올린 글에서 “오늘은 더불어 사는 세상을 향한 한글의 꿈을 세계인과 나누는 날이 되길 바란다”며 이 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세종대왕은 나라의 근본인 백성을 사랑했고, 백성 스스로 깨치는 힘을 믿었다”며 “남녀노소 누구나 자신의 말과 뜻을 글로 실어 펴는 데 어려움이 없는 세상을 치열하게 궁리했고 마침내 한글을 만드셨다”고 말했다.
이어 “한때 공휴일이 많아 경제가 어렵다는 이유로 한글날이 공휴일이 아닌 기념일로 격하된 적도 있었으나, 국민의 힘으로 다시 5대 국경일 중 하나로 승격됐다”며 “한글날을 소중히 여겨야 하는 또 하나의 이유”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일제 강점기에는 한글을 지키는 것 자체가 독립운동이었다”며 “한글을 익혀 기적 같은 경제성장과 민주화의 길을 열었고 문화를 일궈 세계 속으로 나아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K팝과 드라마, 영화, 웹툰을 접하며 우리 문화에 매력을 느낀 세계인이 한글을 통해 한국을 더 깊이 알아가고 있다”며 “K팝 공연 때 세계 젊은이들이 우리말로 떼창을 하는 모습을 보면서 가슴이 뭉클해진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우리 스스로가 우리 말과 글을 더욱 사랑하도록 정부부터 쉬운 우리말을 쓰겠다”며 “법률 속 일본식 용어, 어려운 한자 용어를 쉬운 우리말로 바꾸는 작업도 꾸준히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