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남 혁신도시 지정에 각계 일제히 ‘환영’

입력 2020-10-08 17:30
충남도 관계자들이 8일 균형위 본회의 종료 이후 기자회견을 갖고 혁신도시 지정을 환영하고 있다. 충남도 제공

대전·충남의 혁신도시 지정안이 8일 열린 제28차 국가균형발전위원회 본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인근 지역 및 정계 등에서도 일제히 환영의 뜻을 밝혔다.

세종시는 이날 논평을 내고 “대전·충남 혁신도시 지정을 35만 세종시민과 함께 축하하고 환영한다”고 했다.

시는 “그동안 대전·충남 혁신도시 지정을 위해 노력해온 지역 정치권과 대전·충남 시도지사 및 관계 공무원, 370만 대전·충남 시도민의 노고에 경의를 표한다”며 “혁신도시 지정으로 대전‧충남은 비약적인 성장과 발전의 발판을 마련했다. 공공기관의 이전이 이뤄지고 지역의 잠재적 역량이 활짝 꽃 피우기를 기대한다”고 축하했다.

그러면서 “대전과 세종, 충남과 충북이 긴밀하게 연계·협력하면서 충청권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특히 공공기관이 옮겨와 지역 청년들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긍정적인 효과도 기대된다”고 했다.

또 “세종시는 앞으로도 행정수도 완성과 대전·충남 혁신도시 발전, 2단계 공공기관 지방이전 등을 위해 충청권은 물론 전국 지자체와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역 정치권도 모처럼 여야 한 목소리로 환영의 뜻을 내비쳤다.

더불어민주당 충남도당은 “(균형위의)이번 의결을 뜨겁게 환영하며,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고 온당한 결정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며 “그동안 충남 혁신도시 지정이라는 대의를 위해 함께 해주신 220만 충남도민 여러분께 존경과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고 운을 뗐다.

도당은 “노무현 정부가 국가균형발전 3대 특별법을 공포한 지 16년이 지났지만 수도권 과밀화는 좀처럼 해소되지 않았다”며 “수도권은 과밀화로 몸살을 앓는데, 지방에서는 ‘인구감소로 30년 내에 77개 시·군이 소멸될 것’이라는 예측마저 나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충남혁신도시 지정은 ‘수도권과 지방이 고르게 잘 사는 나라’로 가는 이정표이자 첫 걸음이 될 것”이라며 “국가균형발전에 있어서 만큼은 당리당략을 잠시 뒤로 미루고 ‘충청’이라는 이름으로 함께 해주시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대전시당도 “전국에서 유일하게 배제됐던 대전이 16년 만에 혁신도시 반열에 올랐다”며 “이제 대전에도 이전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대학, 연구소 등과 연계된 미래형 도시가 구축될 수 있게 됐다”고 했다.

대전시당은 그러면서 행정수도 완성이라는 과제 역시 반드시 이뤄내야 한다고 역설했다.

시당은 “혁신도시 지정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대전발전 전략이 혁신도시로 끝나서는 안된다는 것”이라며 “대전은 혁신도시로 새로운 활력을 찾는 것과 동시에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과 동반 성장하는 새로운 동력을 모색해야 한다”고 했다.

또 “대전·충남 혁신도시 지정이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에 영향을 미쳐서도 안될 것”이라며 “혁신도시 지정을 받아든 기쁨에 들떠 대전시가 안고 있는 또 다른 숙제를 잊지 말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